d라이브러리
"이중"(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더 넓은 세상에서 진짜 꿈을 찾았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연구한 부산고 3학년 김도현·장명환·김재윤 군은 학교 물리동아리에서 만났다. ‘이중코일을 활용한 전기공진과 2차 코일 주위의 전자기파에 대한 탐구’로 특별상을 수상한 이들은 동아리에서 연구하다 이번 대회까지 오게 됐다. 한국산 나비의 계통 분류를 분석한 주수경(3학년)·방수민(2학년) ... ...
- 지구형 행성 3개 또 발견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이들은 지금까지 발견된 것들보다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이중 2개는 지구로부터 1200광년 떨어진 항성 케플러 62 인근(거문고 자리)에서 발견된 케플러 62f와 62e다. 케플러 62의 크기는 태양의 3분의 2가량, 밝기는 5분의 1정도다. 케플러 62는 5개의 행성을 갖고 있으며 6 ... ...
- 새로운 AI 바이러스, 대륙을 떨게 하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감염됐다는 소식을 처음 전한 이후 지금까지 환자수가 87명으로 늘어났다(4월 18일 기준). 이중 17명이 사망했다. 사망률은 다섯 명 중 한 명 꼴인 19.5%. 1918년에 전 세계에 창궐해 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독감의 사망률 10%의 2배다. 신종 바이러스의 감염 증상은 발열, 기침, 호흡곤란, 폐렴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지구위협천체(PHO)’로 분류해 따로 관리하고 있다. 약 5000개 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중 1379개가 발견됐다.사실 크기가 최소 35m만 돼도 직접 타격을 입는 도시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이번에 지구를 스쳐지나간 2012 DA14가 이런 규모의 소행성이다). 문 연구원은 “근지구 소행성 중 50m급 ... ...
- 부모님과 함께 보는 2013년 교과서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교과서에는 창의수학 영역이 있어. 이야기마당, 놀이마당, 체험마당으로 꾸며지는데, 이중 놀이마당이 가장 인기 있지.수학을 놀이처럼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수학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꾸몄거든. 동그라미를 몸으로 표현해 보기 같은 활동이 대표 놀이야. 1·2학년 학생들은 활동하면서 익히는 ...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꼭 알아야 할 과학이슈11 Season2’에서는 최근의 화학적 거세 논란을 행동유전학과 환경의 이중 필터로 분석해낸다. 과학동아 기자를 포함한 과학전문 기자, 과학저술가가 엄선해 해설한 단행본 ‘과학이슈11’은 ‘2011년 우수과학도서’로 선정되며 많은 독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는데, 이번에 나온 ... ...
- INTRO. NEO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013년은 생물학과 의학 분야 최대의 발견으로 꼽히는 DNA 이중나선 구조가 발견된 지 60주년이 되는 해다(‘네이처’ 논문 발표일은 4월 25일). DNA 발견은 전통적인 생물학을 분자생물학으로 완전히 바꿨을 뿐 아니라, 생물을 유전자 중심으로 바라보게 하는 관점의 전환을 일으켰다. 이제 질병과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높은 상태에서는 풀어져 단일 가닥이지만 온도가 낮아지면 A와 T, G와 C가 서로 결합해 이중 가닥이 된다. 이런 물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연산에 활용할 수 있다. 정보량도 월등하다. 1g의 DNA에는 1021개의 염기(A, T, G, C)가 포함돼 있다. 만약 이들을 하나의 기호로 보고 정보량을 계산하면 무려 10억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인류가 합성하지 못하고 있는 세포 내 기관 단백질들이 서로 정교하게 협력하고 있다.이중나선 구조가 발견된 이후 DNA는 생명의 설계도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유일한 주인공으로 군림했다.하지만 60주년을 맞은 오늘날, 이런 관점은 바뀌고 있다.네오 DNA 시대에, DNA는 서로 도우며 조화롭게 생명을 ... ...
-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4호
-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바다에 설치한 풍력발전기 아랫부분에 녹조류 양식장을 만들어 이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흠, 우리 우주선이 자꾸 불시착하는 이유도 맛있는 팝콘을 연료로 하기 때문인 것 같다.그럼 어떻게 하지? 먹지 못하는 바이오에너지도 있어? 물론이지. 똥이나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