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DATA MATH]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01호
- SF영화에나 등장할 것 같은 이야기지만 앞의 이야기와 비슷한 일이 2013년 2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에서 일어났어요. 실제로 지름 17m 소행성이 첼랴빈스크주 하늘에서 폭발해 운석우들이 땅에 떨어지고 그로부터 16시간 뒤 지름 45m의 소행성이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비껴갔지요. NASA(미국항공우주국)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 국제우주정거장과 지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안녕? 우린 우주인이 되기 위해 특수훈련을 마친 옥톡과 달냥이야. 어느 날, 우주 저 멀리에 있는 외계인으로부터 신호가 왔어. 당장 그들을 만나러 갈 거야! 우린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여러 탐사선에서 부품을 모아 우주에서 최고로 멋진 우주선을 만들기로 했어. 자, 그럼 첫 탐사선으로 떠나 볼까? ... ...
- [과학뉴스] 지구 무게는 6론나그램, 새 접두어 4개 도입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디지털 데이터 양의 폭발적인 증가에 맞춰 큰 수를 간략히 표현하기 위한 새로운 접두어가 등장했다. 10의 27제곱을 일컫는 론나(ronna)와 10의 30제곱을 뜻하는 퀘타(quetta)다. 아주 작은 수를 표현하기 위해 소수점 아래 27번째 자리인 론토(ronto)와 소수점 아래 30번째 자리인 퀙토(quecto)도 함께 도입됐다 ... ...
- [화보] 물, 물, 어디에나 물이지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물, 물, 어디에나 물이라네. 그러나 마실 물은 한 방울도 없다네.”200년도 더 전인 1798년, 영국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는 ‘노수부의 노래’에서 바다를 함부로 대하다 저주받은 선원의 운명을 묘사했다.선원과 현대인의 운명이 겹쳐 보이는 것은 우연일까. 2022년 말, 기후행동단체 ‘클라이밋 ... ...
- [특집] 순간이동이 당연해진 세상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과학기술은 언제나 인류의 상상 한 발짝 뒤를 따라 걸어왔다. 그러니 순간이동을 현실 속에 불러오려면 우선 상상해야 한다. 물류학과 교수, SF 작가, 그리고 과학동아 독자에게 순간이동이 당연해진 세상은 어떤 모습일지 물었다. 네 가지 이야기가 자아내는 낯설면서도 익숙한 세상 속으로 한 발짝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편집자주. 본 기사에는 픽션과 논픽션이 섞여 구성돼있습니다. ‘래빗홀 컴퍼니’는 허구의 단체이며 기사 본문내용중 픽션인 부분은 기울여 적었습니다.래빗홀 컴퍼니의 양자전송 순간이동 서비스를 신청해주신 고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123년 개정된 산업안전법에 의거하여 양자전송 순간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편집자주. 사이언스 픽션(SF), 즉 과학적 사실이나 가설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를 ‘과학덕후’의 시선으로 뜯어보면 얼마나 더 재밌게요. 볼거리가 넘쳐나는 시대, 과학덕후라면 꼭 봐야할 최신 SF작품 속 과학 이야기를 6개월간 연재합니다. 2009년 개봉한 ‘아바타’의 속편, ‘아바타: 물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지구상에는 수많은 종의 생명체가 존재합니다. 육지는 물론이고 에베레스트산 높이보다 더 깊고 어두운 바닷속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생명체가 각자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 생명체가 고등하다 혹은 하등하다고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대신 복잡한 혹은 간단한 ... ...
- [특집] 최초로 별을 기록한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누구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인터뷰 빅토르 지셈버그(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프랑스 소르본대학교 레옹 로빈 고대 사상 연구센터 연구원) Q 평소에 어떤 연구를 하시나요?주로 고대의 과학 및 철학 문서를 분석해서 학자와 일반인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요. 특히 고대 문명들이 문화적으로 서로 영향을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축하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가 올해 10주년을 맞았습니다. 어느덧 열 살이 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떻게 자랐을까요? 시민과학이란 시민이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등 연구 활동에 참여하는 걸 뜻해요. 2012년부터 지금까지 어린이과학동아, 시민과학자, 과학자들과 함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