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자폐증 환자에 대한 편견이 깨지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연구원은 “그동안 미디어가 자폐증 환자의 폭력적인 성격만 지나치게 강조해왔다”고
지적
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 29일자에 게재됐다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평가해달라고 부탁했다. 해외석학들은 공통적으로 연구실에 박사후연구원이 부족하다고
지적
했다. 미국 대학의 연구실은 전체 연구원 중 30~40% 이상이 박사후연구원인데 반해, 서울대 자연대에선 10%에도 못 미쳤다. 석학평가를 보조한 이현숙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박사후연구원은 ... ...
[News & Issue] 헐크가 된 야구선수들, 지난겨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하체가 중요한 것은 타자도 마찬가지다. 타격을 처음 배우는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지적
받는 사항이 ‘팔만 사용한다’는 것이다. 서있는 상태에서 배트를 휘두르는 타자도 태엽기계와 같이 몸 전체를 뒤로 돌렸다가 앞으로 빠르게 회전시킨다. 이때 가장 먼저 태엽을 풀어야 하는 부위는 팔이 아닌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새로운 생명체 제작을 독려하는 사례도 많다.대다수 바이오해커의 목표는 생명에 대한
지적
호기심의 충족이다. 또한 이들의 창의성과 교육 활동이 합성생물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영양분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인체에 치명적인 병원체를 합성하는 기술이 언젠가는 바이오해커에게도 전달될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아니라는 말이다. 연구책임자들은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성’을 빨리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
했다. 비정규직 연구원의 평균 근속년수는 2.6년으로, 정규직(12.1년)의 5분의 1밖에 안 된다. 연구책임자의 82.5%가 ‘비정규직의 잦은 이직으로 연구효율이 저하된다’고 대답할 정도로 연구에도 악영향을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올렸다. 의혹은 삽시간에 전국으로 퍼졌고, 전문가들이 검증에 나섰다. 브릭 사용자들의
지적
을 계기로 문제의 초점은 생명윤리에서 연구부정으로 확장됐다. 나중에 이 의혹들은 사실로 밝혀졌다.국내 웹 역사와 함께 시작되다브릭(BRIC)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의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좋은 개발자지요. 따라서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노력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본인이
지적
호기심이 뛰어나고 문제해결도 잘 한다면 미래에 좋은 개발자가 될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 ...
[과학뉴스] 어린이 애니메이션, 어린이에게 해롭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살면 손쉽게 중산층이 될 수 있다고 암시하고 있지만 이는 명백히 현실과 다르다”고
지적
했다. 실제로 미국 어린이의 4분의 1은 빈곤 계층이며, 이 중 10%만이 가난에서 탈출해 이른바 ‘신분상승’을 이룬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가난’ 온라인판 2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과정이다. 즉 유의확률을 얻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여기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
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렇게 널리 이용되는 절차에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 다음 호에서 영가설 검증과 유의확률의 허점에 대해 알아본다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발생했어요. 대체 이유가 뭐였을까요? 황 교수님은 기자들이 만든 현수교의 끈 상태를
지적
했어요. 끈이 거의 직선으로 당겨져 있었거든요.“현수교를 연결하는 줄이 직선을 이루면 다리의 상판이 받는 힘이 줄의 한 점에 모이게 돼요. 그럼 모인 힘을 버티지 못하고 다리가 쉽게 무너지죠. 하지만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