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시화호는 오목한 만에 설치한 방조제의 수문을 통해 바닷물이 드나들고 있었다. 이런
지형
은 조력발전을 하기에 좋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밀물과 썰물 때의 물 높이차(조차)가 꽤 큰 지역이다. 미국 에너지부가 2009년 펴낸 ‘해양에너지 기술 개요’ 보고서에 따르면, 조력발전에 적합한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개의 판이 만드는 역동적인 지구[점선을 따라 태평양을 잘랐을 때 지구 속 판의 움직임과
지형
을 아래 그림에 펼쳐 보였다.]화산과 지진의 공통점은 둘 다 지구 내부의 열로 순환하는 고체 맨틀때문에 발생한다는 점이다. 판구조론에 따르면 지각은 1년에 수 cm씩 움직이는 12개의 큰 판으로 나뉜다.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수심이 50m가 넘는 바다에서 암반을 평탄하게 깎아내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평탄한
지형
을 찾아야 한다. 기지의 높이는 수심 50m인 해수면 위로 38m가 더해져 총 88m이다. 면적은 축구장의 5분의 2 크기인 2700m2로 이어도나 가거초 기지보다 크다. 기능적인 차이는 거의 없지만 수심이 깊고 바람과 파랑이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생긴 파타고니아 고원은 원주민의 전설 속 거인인 파타곤에서 이름을 따왔다.
지형
이 워낙 험준하고 기후 또한 좋지 않아 19세기 후반에 들어서야 인간의 발길이 닿았다고 한다. 하지만 빙하가 할퀴고 가면서 형성한 긴 협곡은 그야말로 절경이었다. 파타고니아에서 안데스 산맥 서쪽 자락에 있는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특성이 있어 어디로 퍼질지 예측이 가능하다. 만약 오염물질이 지하수에 들어갔더라도
지형
등 환경 조건과 물의 흐름을 잘 조사해 대응하면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박 교수는 “지하수가 흐르는 속도, 오염원의 밀도 등 몇 가지 정보만 알면 오염물질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 ...
가장 선명한 달 뒷면 사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뒷면의
지형
이 크게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앞면에 비해 뒷면에는 현무암성 화산
지형
이 비교적 적게 분포하고 있다. 애리조나대 연구팀은 앞으로 달 뒷면에 산맥과 바다, 크레이터(운석 충돌 등으로 움푹 팬
지형
) 등이 생긴 원인을 연구할 예정이다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극중이 금속은 상온초전도체로 설정돼 있다. 거대한 땅이 공중에 떠 있는 신비로운
지형
도 이 금속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공중에 부양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온초전도체는 꿈의 물질로 SF를 비롯한 여러 영화나 소설에 등장한다.]이어지는 발견, 하지만 상온초전도체는 아직2001년에는 금속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평평하게 솟아 오른 고원지대로 수심이 200m 내외인
지형
이다. 그만큼 지진해일은 해저
지형
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이 자료를 바탕으로 방재연구소는 동해안의 ‘지진해일 침수예상도’를 작성하고 있다. 대상은 주로 동해안의 주요 항만지역과 여름철 인구밀도가 높은 해수욕장, 그리고 과거 해일로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태어났지만 가장 추운 지역까지 진출해 살다니 정말 신기하죠. [오늘날 스텝
지형
(남아메리카 파타고니아). 마지막 네안데르탈인은 이런 풍경을 봤는지도 모른다.]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해 가던 5만~1만 2000년 전 사이 유럽의 생태를 지도에 표시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이 네안데르탈인의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앞에 티끌처럼 작은 한 사람이지만, 지질학자로서 국내 곳곳에 숨겨져 있는 아름다운
지형
과 지질들을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일은 보람된 일일뿐 아니라 매우 기쁘다. 헤아릴 수 없는 지질작용과 기후변화에 우리 강산은 끊임없이 변할 테지만 자연의 위대함과 경건함 앞에서 우리 인간은 영원히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