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안테나를 갖고 있다. 이 안테나에서 지구로 전파를 발사하면 산이나 땅, 도로, 건물 같은
지형
과 물체에 반사돼 위성으로 돌아온다. 돌아온 전파를 다시 받아 지상국의 안테나로 정보를 보낸다. 위성에서 보낸 정보는 바로 볼 수 있는 영상이 아니다. 따라서 지상국에서 영상레이더 처리장치(SAR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개의 판이 만드는 역동적인 지구[점선을 따라 태평양을 잘랐을 때 지구 속 판의 움직임과
지형
을 아래 그림에 펼쳐 보였다.]화산과 지진의 공통점은 둘 다 지구 내부의 열로 순환하는 고체 맨틀때문에 발생한다는 점이다. 판구조론에 따르면 지각은 1년에 수 cm씩 움직이는 12개의 큰 판으로 나뉜다.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생긴 파타고니아 고원은 원주민의 전설 속 거인인 파타곤에서 이름을 따왔다.
지형
이 워낙 험준하고 기후 또한 좋지 않아 19세기 후반에 들어서야 인간의 발길이 닿았다고 한다. 하지만 빙하가 할퀴고 가면서 형성한 긴 협곡은 그야말로 절경이었다. 파타고니아에서 안데스 산맥 서쪽 자락에 있는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수심이 50m가 넘는 바다에서 암반을 평탄하게 깎아내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평탄한
지형
을 찾아야 한다. 기지의 높이는 수심 50m인 해수면 위로 38m가 더해져 총 88m이다. 면적은 축구장의 5분의 2 크기인 2700m2로 이어도나 가거초 기지보다 크다. 기능적인 차이는 거의 없지만 수심이 깊고 바람과 파랑이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특성이 있어 어디로 퍼질지 예측이 가능하다. 만약 오염물질이 지하수에 들어갔더라도
지형
등 환경 조건과 물의 흐름을 잘 조사해 대응하면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박 교수는 “지하수가 흐르는 속도, 오염원의 밀도 등 몇 가지 정보만 알면 오염물질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극중이 금속은 상온초전도체로 설정돼 있다. 거대한 땅이 공중에 떠 있는 신비로운
지형
도 이 금속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공중에 부양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온초전도체는 꿈의 물질로 SF를 비롯한 여러 영화나 소설에 등장한다.]이어지는 발견, 하지만 상온초전도체는 아직2001년에는 금속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평평하게 솟아 오른 고원지대로 수심이 200m 내외인
지형
이다. 그만큼 지진해일은 해저
지형
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이 자료를 바탕으로 방재연구소는 동해안의 ‘지진해일 침수예상도’를 작성하고 있다. 대상은 주로 동해안의 주요 항만지역과 여름철 인구밀도가 높은 해수욕장, 그리고 과거 해일로 ... ...
가장 선명한 달 뒷면 사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뒷면의
지형
이 크게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앞면에 비해 뒷면에는 현무암성 화산
지형
이 비교적 적게 분포하고 있다. 애리조나대 연구팀은 앞으로 달 뒷면에 산맥과 바다, 크레이터(운석 충돌 등으로 움푹 팬
지형
) 등이 생긴 원인을 연구할 예정이다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시작해 미국 남서부까지 이어진다.] [눈 덮인 호랑이 아이슬란드 북부 해안의 산악
지형
을 촬영한 모습이다. 주황색 땅에 검은색 그림자와 눈으로 덮인 고지대가 이루는 줄무늬가 어우러져 호랑이 머리처럼 보인다. ‘에이야피오뢰르’라는 이름의 거대한 피요르드 해안이 호랑이의 입을 만들고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앞에 티끌처럼 작은 한 사람이지만, 지질학자로서 국내 곳곳에 숨겨져 있는 아름다운
지형
과 지질들을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일은 보람된 일일뿐 아니라 매우 기쁘다. 헤아릴 수 없는 지질작용과 기후변화에 우리 강산은 끊임없이 변할 테지만 자연의 위대함과 경건함 앞에서 우리 인간은 영원히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