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d라이브러리
"
팀
"(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NST 모두를 위한 연구] “2025년 태양전지 세대 교체 일어날 겁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반복해야 한다. 가령 UNIST에서 첨가제 후보 물질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면, 김 센터장
팀
은 그 첨가제를 각각 다른 양으로, 그리고 다른 조건에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과 결합시킨다. 그렇게 만들어진 태양전지 샘플을 일일이 테스트해보고 눈에 띄는 효율이 나타나는 것을 추려내야 한다. 김 센터장은 ... ...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시도된 것이 스코펙스가 처음은 아니다. 2010년 영국 브리스톨대를 비롯한 네 개 대학 연구
팀
은 성층권에 물방울 입자를 흩뿌려 햇빛을 반사하는 스파이스(SPICE)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과학자들은 스파이스 프로젝트를 두고 스코펙스와 마찬가지로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은 없는가’ ‘인간의 ... ...
[한페이지 뉴스] 무엇이든 잡는 로봇손, 비밀은 손바닥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각각 43%와 32% 비율로 설계했을 때 가장 잘 집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이를 토대로 연구
팀
은 손바닥 구조를 겸비한 로봇손을 만들어 골프공과 머스타드통, 오렌지 등 다양한 형태의 물건을 집으며 성능을 확인했다. 로봇손은 사물의 위치에너지를 계산해 물건을 가장 안정적으로 집을 방법을 ... ...
[기획] 순간 포착! 빛이 번쩍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대기의 분자가 충돌하면서 이온화되며 푸른빛을 내는 블루제트가 나타나지요.연구
팀
은 지상의 뇌운에서 더 높은 대기를 향해 치는 번개나 섬광을 고층대기에서 관측하기 위해 지난 2018년 국제우주정거장에 특수고속카메라인 고층대기번개 관측기(ASIM)를 설치했어요. 그리고 2019년 2월 나우루 섬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지하의 우주인’이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대부분의 고인류 화석 발굴
팀
과는 달리 이
팀
은 주로 박사 학위를 최근에 받은 젊은 여성학자들로 이뤄졌다. 작은 몸집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자격에 걸맞았던 이들이 목숨을 걸고 꺼내온 고인류 화석에게는 호모 날레디(Homo naledi)라는 새로운 종명이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900만 년 전 개미의 식사 시간! 미국 뉴저지공과대학교의 진화생물학자 필립 바딘 교수
팀
은 태국 미얀마에서 9900만 년 전 살던 지옥개미가 바퀴벌레를 문 순간이 저장된 호박을 발견했어요. 지옥개미가 커다란 낫과 같은 턱으로 바퀴벌레를 무는 순간, 소나무에서 나온 끈적끈적한 송진에 갇혀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속도가 너무 빨라 강력의 특성을 파악할 시간조차 제대로 주어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
팀
은 양성자와 양성자의 충돌에서 생성된 입자 간의 운동량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해 기묘 쿼크(strange quark)를 포함하는 입자와 핵자(양성자와 중성자) 사이의 강력 상관관계를 밝힐 수 있는 펨토스코피 ... ...
[에디터노트] 눈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번에 표지와 특집 본문에 사진을 제공한 복원 아티스트 ‘케니스&케니스’
팀
의 작품도 그렇습니다.하지만 400만 년 전 인류가 유일한 최초의 인류 후보는 아닙니다. 더 이른 시기에 산 후보도 있습니다. 우리의 직계 조상인 호모 속 최초의 인류 역시 아직 정체가 모호합니다. 아시아에서 거푸 ...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빛을 내는 현상이다. 자기장이 강한 자기력선을 따라 입자들이 이동한다. 공동연구
팀
은 자체개발한 자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해 목성 극지역의 자기장을 시뮬레이션했다. 1cm3 당 0.2의 개수밀도(단위 부피당 입자수)를 가진 태양풍이 초속 400km로 불어오는 상황을 가정하고 태양풍 속 입자들이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국립보건연구원과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현 테라젠바이오) 등 공동연구
팀
은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13~16세 국내 비만 청소년 67명과 BMI가 25 미만인 비만이 아닌 청소년 67명의 장내 미생물을 비교했습니다. 대변 시료에서 미생물의 유전체만 쉽게 동정할 수 있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법과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