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12년 전 독자위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접니다. 그리고 다시 독자위원회를 만듭니다. 12년 전과 여러 면에서 다릅니다. 100% 디지털로 진행하며, 규모도 200명에 달합니다. 심지어 애플워치와 에어팟까지 드리지요.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차별점은 따로 있습니다. 참여와 피드백, 변화입니다. 2022년 전지적 독자위원회는 표지 선정에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 음성 연구하던 박사 AI 성우로 창업하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첫 매출 2000만 원을 기록한 이후 매년 꾸준히 4~5배씩 성장을 거듭했다. 현재는 2018년 대비 100배 이상 늘었다. 올해 2월에는 이런 기술의 가치를 인정받아 시리즈B 규모의 투자를 받는 데도 성공했다. 256억 규모다. 김 대표는 “앞으로도 매년 꾸준히 3~4배씩 성장시킬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다양한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저명한 수학자인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에게 물으면서 수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됐습니다. 100년 넘게 많은 수학자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어졌고, 1976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의 두 교수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이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증명을 완성했습니다.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처럼 이 ... ...
- 더 뜨거워진 공대 최고 인기학과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빠지지 않고 들어있는 그것. 현대사회에서 언제나 인기 있었지만 앞으로 더 인기 있을 그것. 반도체가 요즘 한국 사회 ... 기사를 보려면? part1.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Part2. [인터뷰]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Part3. 10년 뒤에도 잘 ...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 숲 속의 샹들리에 산호히비스커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위로’ ‘미국 정원의 발견’ ‘가드너의 일’이 있고, ‘세상을 바꾼 식물이야기 100’ ‘식물: 대백과사전’ ‘가드닝: 정원의 역사’ 등을 번역했다. (※이달의 식물사연은 이번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지켜봐 주신 독자들께 감사드립니다.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어떻게 퇴적암에서 발견되는 화석이 나오냐고요?제주도 지역은 원래 모래가 깔린 수심 100m 이내의 얕은 바다였습니다. 조개나 고둥처럼 탄산칼슘(CaCO3)으로 껍데기를 만드는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었지요. 그러다 신생대인 약 150만 년 전부터 물속에서 화산이 분출하기 시작했어요. 그러면서 얕은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편견을 뛰어넘은 여성 수학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만들었어요. 어떤 소수에 2를 곱하고 1을 더한 값이 소수가 될 때의 소수를 말해요. 100보다 작은 모든 소피 제르맹 소수에 관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했지요. 과학 아카데미 모임에 여성 최초로 참석하기도 했고요. 앞으로는 여성 수학자의 노력과 재능을 인정해주는 ... ...
- [특집] 황금책은 어디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개발한 방법이지요. 먼저, 책에 담긴 지식의 분야를 크게 10가지로 나누고, 000부터 900까지 100 단위로 번호를 매겼어요. 예를 들어 기독교에 관한 책을 찾고 싶다면 200번, 소설책이 읽고 싶다면 800번이라고 적힌 구역을 찾아가면 돼요. 000번은 ‘총류’인데, 나머지 9개 분야로 구분하기 어려운 ...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현재 진행 중인 수학의 대중화는 훨씬 빠르게 이뤄질 겁니다. ‘보통 사람’이 10억, 100억처럼 상상하기도 힘든 큰 수의 사칙연산을 부담 없이 다루고 일상에서 ‘확률’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지금의 일상을 10세대 전의 인류가 생각할 수 있었을까요? 는 허 ... ...
- [인포그래픽] 아로마티카의 용기 개선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지구에 이로운 일을 하고 싶다는 사명감이 있었다”며 “다 쓴 화장품 용기가 100% 다시 탄생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들이 플라스틱의 무한순환을 위해 내놓은 ‘용기’를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