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늘
침
잔뼈
강모
침상 결정
구더기
구데기
뉴스
"
가시
"(으)로 총 874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깐과학] 펄서를 발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2.20
성운 중심의 펄서를
가시
광선과 엑스선으로 관측하여 합성한 모습이다. Mysid/위키피디아 제공 1967년 11월 28일, 영국 케임브리지의 무라드 전파천문대에서 관측 중이던 대학원생 조슬린 벨 버넬은 여우자리 방향에서 특이한 전파 신호를 발견했습니다. 전파 신호가 약 1.34초마다 맥박치듯 오고 ... ...
美연구진 "코로나19, 사스보다 더 전염 잘 되는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10억 분의 1m) 해상도로 3207회 촬영하고 그 구조를 분석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표면에
가시
처럼 돋은 스파이크를 인간 세포 표면에 있는 ACE2 수용체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세포에 침입한다. 스파이크가 ACE2에 잘 결합할수록 감염이 잘 일어난다. 관찰 결과 스파이크는 가운데 몸체 양쪽으로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이와 더불어 관측 밴드를 8개에서 13개로 확장했다. 해양탑재체는 여러 빛 중
가시
광선과 근적외선을 관측하는데, 천리안 1호의 해양탑재체는 그중 8개의 파장 영역만 관측했다. 천리안 2B호의 해양탑재체는 이를 13개로 늘렸다. 용 책임연구원은 “이전에 관측하지 못했던 파장들도 관측 ... ...
中연구팀, 신종 코로나 인체 침입 막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특정 단백질은 세포의 특정 수용체에만 결합할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표면에
가시
처럼 돋아나 있는 스파이크단백질을 인간 세포 표면에 나 있는 ACE2 수용체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세포 내에 침입한다. 만약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다른 물질과 결합시켜 잠가버리면, 살아있는 ... ...
정세균 총리 "소부장 산업 성과 내도록 학문간 경계 허물어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흔들리지 않는 산업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소부장 산업의
가시
적 성과 외에 미래 신사업의 핵심기술 확보하고 연구개발(R&D) 투자 효율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먼저 잘해온 것은 그것대로 발전시키되 미래 신산업의 핵심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차전지, ... ...
빛 쪼여 이산화탄소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연구팀은 지난해 9월 아나타제-루타일 이산화티타늄 촉매에서 아나타제 결정을 환원해
가시
광선을 이용할 수 있는 촉매 ‘비결정아나타제-결정루타일 이산화티타늄’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촉매를 개선해 메탄 없이 일산화탄소만 생산하는 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대비 빛의 파장변환 효율을 100배 이상 높이는데 성공했다. 붉은 빛의 적외선이 아닌
가시
광선 영역의 빛인 청색 빛이 출력되는 현상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빛을 다양한 다른 색깔의 빛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비선형 광소자와 레이저는 ... ...
작년 수소차 판매 세계 1위…"수소경제 1년
가시
적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분야에서 국내 자동차가 처음으로 세계 판매 1위를 달성하고 수출국 수를 늘리는 등
가시
적인 성과가 있었다고 자평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3일 신재생에너지 연계 물 분해 시스템 제조 중소기업인 ‘지필로스’를 방문해 산업계와의 간담회를 개최하고 기업인들로부터 현장의 ... ...
'허블우주망원경' 외계행성 찾아줘서 고마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감동까지 선사했다”가 평가했다. 허블우주망원경에는 지름 2.4m인 주(主)거울에
가시
광선과 근적외선, 근자외선 스펙트럼 관측 장비가 실려 있다. 지상에 설치된 천체망원경 해상도의 30배에 이르는 정밀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주장한 ‘우주팽창설’을 ... ...
中, 정부 주도로 인재 영입… 사실상 ‘기술흡입’
동아사이언스
l
2020.01.11
오스트리아에서 2008년 중국으로 돌아간 인물이다. 중국의 인재 흡수 효과는 이미
가시
적 성과를 내고 있다. 와그너 교수는 “중국은 해외에서 귀국한 인재 덕분에 인공지능(AI)과 재료과학 등 특정 분야에서 급격히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라설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경무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