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otch
쇠뇌
소모증
노들나루
나루
가마
대장간
뉴스
"
노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말에는 아델리 펭귄 60% 사라져”
2016.06.29
서남극반도 지역에서 가장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를 주도한 메간 시미
노
미국 델라웨어대 지구대양환경학부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펭귄이 가장 빠르게 사라질 지역을 예측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29일자에 ... ...
수박으로 조각한 좀비 대왕
2016.06.29
리더다. 이 무시무시한 얼굴은 수박을 깎아 만들었다. 이탈리아의 조각가 발레리아
노
파티카가 18시간 동안 작업해서 만든 작품이다. 화제의 수박 조각품은 대단히 섬세해서 드라마나 게임의 내용을 모르는 사람에게도 놀라움을 주기에 충분하다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물티슈 고를 때 체크할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6.22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요즘 뜨거운 이슈가 됐던 가습기 살균제, 방향제, 탈취제 등으로 관련 제품을 살 때 걱정이 많습니다. 그런데 물 ... ☞ 물티슈는 ‘물+티슈’가 아니었더라 (동아사이언스, 2015년 10월) ☞ 우리는
노
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2016년 6월 ... ...
우리는
노
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입고 커피는 머그컵(종이컵 내벽은 플라스틱 필름이 코팅돼 있다)에 마시는 느슨한
노
케미족인 필자 역시 이 빈대가 보통 빈대가 아니라는 걸 잘 알고 있기에.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되므로 사람인지 별인지 알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호킹 박사는 이 같은 ‘
노
-헤어(No-hair) 이론’을 일찌감치 부정했다.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6년 그는 블랙홀이 영원히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수식으로 증명해 보이며 “고전역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랙홀에서 물질이 거꾸로 ... ...
헤드헌터가 완전 기피하는 후보자 워스트 5
2016.06.12
모험입니다. 오랜 기간 사람들을 만나서 이직 상담을 해온 헤드헌터로부터 직장생활의
노
하우를 들어봅니다. ※ 필자소개 전경원. 화인컨설팅그룹 컨설턴트/상무. 전자신문 기자 생활을 거쳐 헤드헌팅 업계에서 10년 가까이 일하고 있다. 대기업에서 스타트업, 외국계 기업에 인재를 추천하며, ... ...
[이달의 사물]
노
케미족
과학동아
l
2016.06.10
화학제품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전문가들은 당장
노
케미족이 되기보다는 주변의 화학제품을 서서히 줄여나가는 방법을 조언합니다. 아저씨 냄새(?)를 지우겠다는 이유로 24시간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제부터요 ... ...
이세돌 꺾은 머신러닝을 화학에 적용했더니
2016.05.08
상대로 4대 1 승리를 가져간 알파고가 바둑을 학습했던 바로 그 머신러닝이다. 알렉산더
노
퀴스트 미국 하버포드대 교수팀은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해 실패로 기록된 여러 화학실험에서 유용한 화학반응을 발굴해낼 수 있다고 5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화학실험을 하다보면 화학반응이 원하는 ... ...
우리 몸속에도 ‘복선(複線) 기찻길’이 다닌다
2016.05.08
구조라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으나, 상세한 기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가이야 피지
노
막스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 및 세포 연구소 연구원 팀은 형광물질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미세소관이 세포 소기관을 수송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살펴본 결과를 이번 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 ...
설립 50년 만에, 20대 최연소 선임연구원 탄생
2016.05.06
줄었다. 여기에는
노
연구원의 성을 딴 ‘
노
-바테 알고리즘’이 적용됐다. ‘바테’는
노
연구원의 지도교수인 클라우스위르겐 바테 MIT 기계공학과 교수의 성이다. 그가 맡은 역할은 턱뼈를 고정하기 위해 어느 부위에 나사 몇 개를 써야 하는지 계산하는 일이다. 이태호 KIST 인사경영팀장은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