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균형
불확실
동요
변화
변동
불평등
불균등
뉴스
"
불안정
"(으)로 총 7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소득자-저소득자 건강수명 11년 격차…"건강불평등 심각"
연합뉴스
l
2020.01.15
것으로 예상되지만, 의료급여 수급자 선정의 까다로운 기준, 노동시장 불평등, 주거
불안정
, 전통적 가족 해체로 인한 건강보험 장기 체납 문제 등 이슈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표방한 '포용적 복지국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을 다루고 사회적 ... ...
로봇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1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아닌 오히려 산업 분야 선진국에서 더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공장 자동화에 따라 고용이
불안정
해질 것이라는 주장은 과장됐다는 새로운 시각도 제시했다. 정책 수립자들도 로봇을 중심으로 하는 차세대 생산 시스템에 대해 반대하기보다는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분석도 내놨다. 국제로봇연맹(IFR)에 ... ...
ESS 화재 위험 줄인 새 이차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물 기반 아연 브롬 전지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불안정
한 전력공급이 단점으로 꼽힌다. 이에 전기 에너지를 미리 저장했다 필요한 시간대에 쓰는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주목받는다. 리튬이온전지가 ESS용 이차전지로 주로 쓰이나 리튬은 전해액과 리튬계 ... ...
현택환 IBS 단장 "어려운 한 해 보낸 IBS…외국인 단장 불안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이례적으로 IBS와 관련해 보도했다. 네이처 캡쳐 그는 또 “특히 외국인 단장들이
불안정
한 미래 때문에 불안을 토로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과학계는 과학자의 출신지보다 소속된 기관을 기준으로 성과를 평가하는 추세다. 외국인 연구단장팀의 성과는 국내 대학과 IBS의 성과다. 이들의 ... ...
백두산 분화땐 지진 피해보다 한반도에 ‘화산재 공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통해 인근에 있던 안정적인 상태의 마그마에 뜨거운 다른 마그마가 들어가 섞일 경우
불안정
성이 높아져 분화가 촉발될 가능성도 있다. ● 무서운 건 용암이 아니라 화산재 실제 화산이 폭발하면 진짜 무서운 피해는 분출하는 용암이 아니라 화산재다. 분출한 화산재가 중간에 산기슭을 타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존재하지만 표면에 놓인 물분자는 반쪽이 공기다. 그 결과 결정 내부의 물분자보다 꽤
불안정
하다. 지난 2017년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얼음의 가장 바깥 표면에 존재하는 물분자 층은 영하 70℃에서 녹고 그다음 층도 영하 20℃에서 녹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하 20℃의 혹한에서도 얼음 표면의 두 ... ...
화성탐사 무한경쟁·사람세포 배양하는 쥐 탄생…네이처가 뽑은 2020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미국 페르미국립연구소는 내년 뮤온 g-2의 실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뮤온 g-2는
불안정
한 소립자인 뮤온이 자기장 내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아주 정밀하게 측정하는 장치다. 전문가들은 이 실험을 통해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소립자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합성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해발고도가 해수면보다 낮아 빙하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바닷물과 만나 녹을 수 있는
불안정
한 지역이 다수 있었다. 스웨이트 빙하의 경우 두 개 산마루가 바다 쪽으로 흘러가는 빙하의 흐름을 방지턱처럼 막으며 바닷물의 접근도 막고 있다. 이곳의 빙하가 녹아 경계가 이 뒤로 물러나면 바닷물이 ... ...
RNA로 폐암 단백질 잡는 치료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이 부분과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간섭RNA다. 문제는 RNA가 DNA에 비해 구조적으로
불안정
해 체내에서 표적까지 도달하지도 못하고 도중에 분해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RNA가 나노구조체 형태를 띠면 USE1 유전자 표적에 도달하기 까지 분해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팀은 USE1을 ... ...
우주 비밀 밝힐 ‘초대형 입자 충돌기’ 한국 기술로 업그레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6
무거운 중성미자가 존재해야 하고 현재 관측된 힉스 입자의 질량으로는 우주가
불안정
해지는 등의 모순이 있다”며 “정황상 (표준모형 너머의) 무엇인가가 있어야 한다는 데 많은 물리학자들이 동의하고 있어, 마치 바다 너머 미지의 대륙을 찾는 심정으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