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단축
shrinkage
감소
절감
제한
경련
뉴스
"
수축
"(으)로 총 568건 검색되었습니다.
[Health&Beauty]소화불량에 탄산은 금물…증상따라 소화제 드세요
동아일보
l
2016.04.20
우울한 감정을 느끼면 신경계가 위를 압박한다. 그러면 위와 장운동이 저하되고 혈관이
수축
되면서 소화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소화효소가 충분히 분비돼도 복부팽만감과 불쾌감,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건위소화제를 복용하는 게 좋다. 탄산은 소화 안 될 때 피해야 톡 쏘는 청량감이 있는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2016.04.07
이들은 엄마 뱃속 같은 가스 구름에 500만년간 둘러싸여 있었다고 한다. 가스 구름이 계속
수축
해 태아별 중심부에서 수소가 타기 시작하면 별이 무더기로 탄생할 것이다. 인류 최초의 세계 일주 항해자로 알려진 마젤란은 사실 1519년부터 3년간 진행된 세계 일주를 끝내지 못했다. 대서양을 지나고 ... ...
혜성에 간 ‘로제타’도 명왕성 간 ‘뉴호라이즌스’도 ‘이것’ 탑재
2016.03.25
반사경부터 기계 구조물까지 모든 부품을 실리콘 카바이드로 만들면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과 팽창이 일어나도 작동에 지장이 없다. 게다가 지름 700㎜인 실리콘 카바이드 반사경은 약 9㎏으로 동일한 크기의 유리 반사경(약 25~30㎏) 무게의 3분의 1 정도로 가볍다. 양 센터장은 “반사경 지름이 40 ... ...
칩 위에 사람 장기 키우는 ‘생체 칩’ 뜬다
2016.03.18
일어나는 세포 반응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며 “렁온어칩을 이용해 허파꽈리가
수축
과 팽창을 반복할 때마다 미세먼지가 모세혈관으로 더 많이 이동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고 말했다. 허 교수팀은 최근 실제 인간의 눈처럼 눈꺼풀을 깜빡이는 곡면 구조의 ‘아이온어칩’과 태아 ... ...
우주체류 기록은 러시아가 선두, 최장 기록 879일
2016.03.01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그 이유로 인체가 무중력에 적응하면서 심장 근육도
수축
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지구에서처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전신에 혈액을 순환 시킬 필요가 없어진 만큼 근육이 서서히 쇠약해지고 모양도 둥글게 바뀐 것이다. NASA 측은 “심장의 모양 변화는 우주 ... ...
[Health&Beauty]커피로 시작해 커피로 끝… 카페인에 젖은 한국인스스로 줄여 ‘중독 탈출’을
동아일보
l
2016.02.24
△불면 △안면홍조 △소화기 장애 △빈맥이나 부정맥 △소변이 자주 마려움 △근육
수축
△초조함을 겪는 등의 12가지 기준 중 5개 이상에 해당하면 카페인 중독으로 분류된다. 미국에선 100명 중 7명 정도가 이에 해당했다. 카페인의 대표적인 금단 증상은 두통이다. 카페인을 갑자기 끊은 뒤 12∼2 ... ...
[Health&Beauty]목 허리 디스크 질환, ‘비수술 고주파 치료’로 고통 끝! 행복 시작
동아일보
l
2016.02.17
재활치료를 강조하는 분위기다. 수술이나 시술로 변성된 디스크의 튀어나온 부분을
수축
시켜 줄 수는 있지만 약해진 근육 인대 등을 재활로 개선하지 않으면 재발 위험이 있다.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 ...
손 마비 환자, 이 장갑 끼니 통조림도 따네
2016.02.16
장치를 근육 위에 부착했다. 이 장치가 피부를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하면 근육이
수축
하거나 이완되면서 다리를 펴거나 굽힐 수 있다. 사이배슬론의 대표 경기 중 하나인 삼륜거 경기에는 이 장치를 이용해 마비된 다리를 움직여 페달을 밟는 선수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조규진 교수는 “장애인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계산을 하자 이상한 결과가 나왔다. 즉 질량이 아주 작은 부피로 압축될 경우 시공간도
수축
되면서 빛조차 빠져 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어떤 질량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임계 지점을 ‘슈바르츠실트 반지름’(구형이라고 했을 때)이라고 부른다. 태양의 경우 이 값은 약 1.5km이고 지구는 0 ... ...
[2014년] 바이셉2 망원경의 역사적인 발견 vs 노이즈로 인한 착각?!①
과학동아
l
2016.02.12
때, 진행방향에 수직인 땅은
수축
과 팽창을 겪는다. 마찬가지로 중력파는 시공간을
수축
팽창시킨다. 이런 공간에 빛을 놓게 되면, 빛에 편광현상이 일어난다. 편광 현상은 E-모드와 B-모드 두 가지가 생기는데 오직 B-모드만이 중력파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아래 그림 참조). 바이셉2 망원경의 센서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