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스페셜
"
둘임
"(으)로 총 66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
2016.12.21
고병원성 조류독감(AI)으로 2000만 마리가 넘는 가금류가 살처분 되고 있는 가운데, 이젠 곳곳에서 계란까지 판째로 땅에 묻히고 있습니다. 더욱 안타까운 건 조류독감으로 시행하는 대규모 살처분이 이번만이 아니라는 점 입니다. 최초로 발생한 2003년부터 우리나라에선 거의 매해 조류독감이 문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
2016.12.13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pixabay 제공 우리 삶의 3분의 1일나 차지하는 잠. 혹자는 잠을 죽음에 연관시키기도 한다. 잠이 매일 겪는 일시적인 죽음이라면 죽음은 영원이 깨지 않는 잠이라는 것이다. 건강에 관련된 일이 다 그렇듯이 잠도 잘 잘 때는 신경을 쓰지 않다가 점차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부쩍 관심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이상하다. 여름도 아닌데...’ 며칠 전 방에서 책을 보다가 문득 발 냄새가 솔솔 풍기는 것 같아 고개를 갸웃했다. 사실 필자는 늙어서 그런지 발에 땀이 안 나 한여름에도 발 냄새가 거의 없다. 그런데 발바닥이 갈라지기 시작하는 계절에 발 냄새라니. 방을 둘러보니 열어놓은 문에서 냄새가 들어 ... ...
부부 재테크 '합방'해야 성공한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지난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맞벌이 가구는 전체 부부의 43.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집 중 4집 이상이 맞벌이 부부인 셈인데, 최근 경제의 불황 여파를 반영한 결과다. 맞벌이 가정은 둘이 버니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지난해 친구와 점심을 하다 씁쓸한 얘기를 들었다. 책을 보는데 글자가 잘 안 보이고 눈이 금방 피로해져 눈에 이상이 있나싶어 병원에 갔더니 의사가 노안(老眼)이라고 얘기하더란다. 그럴 리 없다고 말하자 의사가 “다들 처음엔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시죠”라며 웃더란다. ‘다행히’ 이 친구는 ... ...
‘이해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별개!
2016.11.05
관계에서의 반응성(Responsiveness)이란 상대방의 필요와 걱정, 관심사 등에 주의를 기울이고 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서 관계에서 신뢰와 친밀감을 얻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왜 어떤 사람은 반응성이 좋고 또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은 걸까? 어떤 요인이 사람들로 하여금 반응성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거의 모든 경우, 발견은 새로운 장비에서 비롯된다. - 존 매더 2012년 학술지 에는(10월 11일자) ‘물리학 특별수업(Physics masterclass)’란 특이한 제목의 부록이 실렸다. 그해 7월 독일 린다우에서 열린 ‘린다우 노벨상 수상자 모임’에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27명과 600명 가까운 젊은 과학자들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침팬지보다 더 잔인하고 보노보보다 공감 능력이 더 뛰어난 우리는 양극성이 가장 심한 유인원이다. 우리 사회는 완전히 평화롭거나 완전히 경쟁적이었던 적이 없다. 또한 순전한 이기심에 지배당한 적도, 완전히 도덕적이었던 적도 없다. 순수한 상태는 자연의 방식이 아니다. - 프란스 드 발, ‘내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