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상자
당첨자
수상작품
입상작품
계관 시인
스페셜
"
수상자
"(으)로 총 484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설아 연구원 '과학기술인·정보통신인 한마음대회' 국무총리 표창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한마음대회'에서 KISTI 글로벌데이터허브센터 안설아 선임연구원이 국무총리 표창
수상자
로 선정됐다. 안설아 연구원은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한 대규모 계산과학 전문가로서 최첨단 계산물리학 연구, 바이오인포매틱스 연구 개발, 이공계 여대생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멘토링 활동에 기여한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98년 ‘여성 생명과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의 1회
수상자
인 유명희(55 사진) 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21세기 프런티어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장을 맡고 있는 그는 “최근 생명과학 분야에서 ‘창의성’ ‘창의적 인재’ ‘융합’은 가장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여기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 인력을 길러내면 2040년 쯤에는 뇌 연구원에서 노벨상
수상자
도 나오지 않을까요?” 서유헌 단장의 ‘이것만은 꼭!’ ○ 한국뇌연구원 설립 ○ BT-NT-IT 연계한 뇌 융합연구 ○ 뇌 관련 BIO 분야 미래성장동력 창출 서유헌 단장은 1948년 출생 1981년 서울대 신경약리학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프로젝트를 주도한 197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인 미국 MIT의 사무엘 팅 교수는 “AMS가 궁극적으로는 양전자의 근원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길어야 100년을 사는 유한성의 운명인 존재들이 100억 년이 넘는 시간과 100억 광년이 넘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쓴 작가 올더스 헉슬리(1894~1964), 그리고 이들의 이복동생인 1963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앤드루 헉슬리(Andrew Huxley)다. 1917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앤드루 헉슬리는 생물학자 집안의 분위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케임브리지대에서 생리학을 공부했다. 1938년 졸업한 뒤 해양생물학연구소 앨런 호지킨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윌머트 사이에서 선택을 하지 못한 걸까. 아마도 후자는 아닐 것이다.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발표 3일 전인 10월 5일 키스 캠벨이 58세 한창 나이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1954년 영국 버밍엄에서 태어난 캠벨은 런던대에서 미생물학을 공부한 뒤 1988년 서식스대에서 세포주기조절 연구로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상온핵융합은 엉터리라는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197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인 영국 케임브리지대 브라이언 조셉슨 교수는 ‘네이처’ 10월 4일자 서신란에 필립 볼의 부고를 비판하면서 자신이 8월 31일 ‘가디언’에 기고한 부고를 소개했다. 즉 상온핵융합은 사기라는 대중의 생각과는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분야 연구자가 수상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그런 차원에서 한국에 노벨상
수상자
가 아직 배출되지 않은 이유를 “뛰어난 연구능력에 비해 창의적인 도전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노벨상을 바란다면 지금까지 생각지도 못했던 ‘완전히 새로운 연구’에 투자해야 합니다. 한국은 연구 ... ...
“기초 연구에 투자한 만큼 성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0.29
올챙이로 키우는 데 성공하면서 핵 이식과 동물복제 분야의 개척자로 인정받아 노벨상
수상자
로 선정됐다. 이 연구는 체세포의 핵을 이식받은 난자가 올챙이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역분화’의 개념을 처음 정립하기도 했다. 그의 연구 덕분에 세계 최초의 복제양인 ‘돌리’와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나이가 많고 연구현장을 떠난지 오래돼 접촉이 적은 것 아니겠냐”고 설명했다. 다른
수상자
들에 비해 사람들과 만나는 것을 좋아하고 익숙해서 그런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마셜 교수는 2일 대전을 방문했을 때, 자신의 노벨상 수상을 기념해 만들어진 ‘배리 마셜 장학금’을 ... ...
이전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