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상자
당첨자
수상작품
입상작품
계관 시인
스페셜
"
수상자
"(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전북대 이중희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6.13
개발한 공로로 전북대학교 이중희 교수(李仲熙, 53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로 선정하였다. 이 교수는 나노소재의 뛰어난 특성을 보존하기 위한 제조공정 개발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지난 20여 년 동안 산업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한 고기능성 나노복합재료의 제조기술에 대한 연구를 ... ...
대를 잇는 과학기술인 가족의 탄생을 기대한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6.12
했다. 고용 안정성이 낮다는 점도 불만이다. 지난 30년 동안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의 절반 가까이는 30대 시절의 연구성과로 상을 받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젊은 과학자들은 비정규직 연구원이라는 불안한 고용 상태에 노출되어 있다. 4대 보험 가입도 퇴직금 혜택도 없으니 마음 편히 연구에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
서울대 강병남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밝혀낸 공로로 서울대학교 강병남 교수(姜秉南, 54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
로 선정하였다. 강 교수는 10여년 동안 복잡한 시스템을 간단히 표현한 “복잡계 네트워크(복잡계 네트워크 : 네트워크는 노드와 노드들을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고, 노드는 사람을 의미, 링크는 ... ...
분자생물학의 거성(巨星) 떨어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7
책 제목도 한 몫 했겠지만. 필자는 수년 전 헤모글로빈의 구조를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막스 페루츠의 과학에세이집 ‘과학자는 인류의 친구인가 적인가?’에서 프랑수아 자콥의 삶을 다룬 한 장을 인상 깊게 읽은 기억이 나 다시 찾아 읽어봤다. 1988년 출간된 자콥의 자서전 영문판 ‘The ... ...
“「젊은과학자상(공학분야)」수상후보자를 찾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2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최문기)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박성현)은 오는 6월 26일 (수)까지 제 17회 젊은과학자상 (대통령상) 공학분야 ... 젊은과학자상은 지난 1997년부터 자연과학분야와 공학분야에서 격년으로 각각 4명의
수상자
를 선정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모두 62명이 배출되었다 ... ...
안설아 연구원 '과학기술인·정보통신인 한마음대회' 국무총리 표창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한마음대회'에서 KISTI 글로벌데이터허브센터 안설아 선임연구원이 국무총리 표창
수상자
로 선정됐다. 안설아 연구원은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한 대규모 계산과학 전문가로서 최첨단 계산물리학 연구, 바이오인포매틱스 연구 개발, 이공계 여대생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멘토링 활동에 기여한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98년 ‘여성 생명과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의 1회
수상자
인 유명희(55 사진) 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21세기 프런티어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장을 맡고 있는 그는 “최근 생명과학 분야에서 ‘창의성’ ‘창의적 인재’ ‘융합’은 가장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여기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 인력을 길러내면 2040년 쯤에는 뇌 연구원에서 노벨상
수상자
도 나오지 않을까요?” 서유헌 단장의 ‘이것만은 꼭!’ ○ 한국뇌연구원 설립 ○ BT-NT-IT 연계한 뇌 융합연구 ○ 뇌 관련 BIO 분야 미래성장동력 창출 서유헌 단장은 1948년 출생 1981년 서울대 신경약리학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프로젝트를 주도한 197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인 미국 MIT의 사무엘 팅 교수는 “AMS가 궁극적으로는 양전자의 근원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길어야 100년을 사는 유한성의 운명인 존재들이 100억 년이 넘는 시간과 100억 광년이 넘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쓴 작가 올더스 헉슬리(1894~1964), 그리고 이들의 이복동생인 1963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앤드루 헉슬리(Andrew Huxley)다. 1917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앤드루 헉슬리는 생물학자 집안의 분위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케임브리지대에서 생리학을 공부했다. 1938년 졸업한 뒤 해양생물학연구소 앨런 호지킨의 ... ...
이전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