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의 소산
독창적인 생각
상상력
창조력
창작력
스페셜
"
창의
"(으)로 총 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 2002년~현재 교육과학기술부
창의
적연구진흥사업 산화물나노결정연구단장 - 2010년~현재
창의
연구단협의회장 - 2010년~현재 미국화학회지(JACS) 부편집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받지 못 했다면 아이디어가 있어도 시도조차 못 했을 겁니다.” 오 교수는 1997년부터
창의
과제에 선정돼 매년 최소 2억 원의 연구비를 받고 있다. 오 교수는 “한국전쟁 이후 최빈국에서 우리나라가 지금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던 건 과학기술에 투자를 많이 했기 때문”이라며 다시 한 번 국가 ... ...
합성세포 창조한 비결… “황당한 주제 당연하게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0.06.21
밝혔다. 대니얼 깁슨 박사의 ‘이것만은 꼭!’ ○ 엉뚱하게 생각되는 아이디어라도
창의
적으로 발전시켜야 ○ 합성세포 기술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면 인류에 큰 도움 될 것 대니얼 깁슨 박사는 대니얼 깁슨 박사는 미국 뉴욕주립대에서 생물과학으로 학사를, 서던 캘리포니아대에서 암 발생 ... ...
“미래혁명 BT세상에서 터질 것… IT도움 절실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6.07
꼭!’ △다가올 바이오 혁명에 대비해 정부가 앞장서 관련 제도 정비해야 △개인의
창의
성을 살리면서 연구의 효율성을 살펴야 서정선 협회장은 1970. 3~1976. 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1976. 3~1978. 2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화학(의학석사) 1978. 3~1980. 2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화학(의학박사) 1983. 6~1 ... ...
“국가 R&D 효율 높이기… 정책연구시스템부터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05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연구비가 많이 들지 않는 경우는 연구자 개인의
창의
력을 인정해주는 게 맞지만 위험성이 높은 연구는 반드시 지원시스템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R&D를 기획·지원·관리하는 기관을 통해 R&D 효율성을 높여야 연구생산성 역시 증가한다는 것. 하지만 정작 R ...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2.09
가장 필요한 일은 그 성과가 후속 연구로 이어지는 일”이라며 “우선 과학자가
창의
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기초연구와 후속연구를 연계해서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자”고 말했다. 기초 연구 성과가 과학적 발견에 머무르지 않고 산업화로 이어지고 기초 연구자들도 여기서 혜택을 누릴 수 ... ...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2.08
이런 연구에 연구비를 줄 수 있는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발상의 전환을 통해
창의
적 연구가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정책 입안자들의 숙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현병환 센터장=농림수산식품분야 R&D 정책에 대해 논의하며 농촌진흥청 인사를 부르지 못한 것이 유독 아쉬운 ... ...
“화이트 바이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0.01.25
초등학교 때 가장 강조하는 게 협동이라는 거였다고 한다. 이 위원장은 “내가 봤을 때는
창의
성이나 지식은 대학 들어가서도 배울 수 있지만 협동 능력은 어릴 때 키워야 한다”며 “우리는 초등학교 때 지식만 가르치고 일등만 강조하니 커서 협력할 줄을 모른다”며 안타까워했다. “융·복합에 ... ...
“생명공학 신속함 갖춰야… IT와 합하면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0.01.11
연구소 내 5개 연구단이 개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미래연구부’를 하나로 통합해 ‘
창의
연구본부’라는 이름으로 개편했다. 융합연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융합기술연구부문’ 사업단 조직 역시 운영할 예정이다. 그가 생각하는 ETRI의 융복합 연구는 어떤 형태일까. 김 원장은 IT기술의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우수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를 현실화하는
창의
적 연구가 중심이 되어야한다”며 “이 때 많은 기초연구자들이 줄기세포연구에 참여토록 하기 위한 유인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줄기세포 연구 인프라가 활성화 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 ...
이전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