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능한 한
최선
최대량
스페셜
"
최대한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폰처 교수는 이들이 가만히 있을 때는 서있기 보다는 주로 앉아있는 등 무의식적으로
최대한
칼로리 소모를 아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잠도 쉽게 깊이 들어 에너지 소모가 덜 했다. 논밭이나 공사현장을 지나다 보면 일을 하던 사람들이 점심을 먹고 그 자리에 누워 낮잠을 자는 모습을 흔히 볼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
2017.05.07
내게 무슨 일이 생길지도 확신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그런 불규칙한 삶에
최대한
그럴싸한 규칙을 찾아내면, 어떤 이치대로 살아가면 된다고 믿으면 큰 위안이 찾아온다. 세상의 이치를 알고 있다는 믿음은 자신감과 통제감 향상으로도 이어진다. 앞선 예에서 내가 응원하는 팀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식물을 많이 심으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지만 막상 그렇지도 않다. 예를 들어 단위면적에
최대한
많은 잎을 확보하려고 키가 큰 플라타너스를 조밀하게 심을 경우 상황에 따라서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해 지면에 가까운 곳에 미세먼지가 정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나무는 간격을 두고 심어야 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우리딘 수치가 올라가면 체온이 떨어지고 산소 소모량이 감소한다. 몸의 대사율을 낮춰
최대한
버티기 위해서다. 영양을 섭취하면 혈중 우리딘 수치가 내려가고 체온이 회복된다. 물론 포유동물 같은 정온동물에서 이런 온도 변화의 폭이 크지는 않다. 예를 들어 생쥐를 24시간 굶길 경우 체온이 1.8도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않았던 새로운 상태의 물질을 만들어낸 것이지요. 네이처 표지는 바로 이 상태를
최대한
시각적으로 구현했습니다. 투명한 결정은 원자 배열의 ‘규칙성’을 나타냅니다. 결정 우측 상단의 숫자는 시간을 의미하지요. 숫자을 잘 보면 잘 보면 시간이 흐르는데 동일한 형태가 반복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사용시간은 늘리고 안전성을 유지하며 수명을 길게, 즉 배터리 효율이 떨어지는 속도를
최대한
늦추게 하는 등 네 마리 다섯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야하는 게 보통일이 아니다. 지난해 갤럭시노트7 배터리 게이트를 지켜보면서 다를 실감했을 것이다. 요즘 배터리로 가장 각광받는 건 1991년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쉽다. 면역세포 치료는 환자의 몸에서 면역세포를 꺼내 수천 배로 증식시키고 활성을
최대한
키운 뒤 다시 몸 안에 넣어주는 치료방법이다. 몸 안에 들어간 면역세포가 암 등 병원균을 제거해 건강을 되찾아줄 수 있다. 일반적인 약물 항암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다.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 ...
[사이언스 지식IN] 우리 고양이, 조류독감에서 안전한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1.02
케이지나 동물이 있었던 바닥, 사료통, 물통 등도 깨끗하게 씻고 소독해 주시고요.
최대한
예방하는 것이 답입니다. ● 캣맘들을 위한 번외 질문 Q. 동네 길냥이에게 밥을 주는데, 당분간 주지 말아야 할까요? Q. 일주일에 한 번씩 동물보호소로 봉사활동을 나갑니다. 위험한가요? 서로 다른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언어를 중요시해 실험을 잘하는 것만큼이나 논문을 잘 쓰는 것도 중요하게 여겼다. 즉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명쾌하면서도 쉽게 글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나 있다. 페인이 이처럼 뛰어난 학자들을 키울 수 있었던 건 연구에서 학생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필요할 때는 도움을 주면서도 논문에는 되도록 자신의 이름을 넣지 않으려는, 즉 제자들이 빨리 독립할 수 있게 하려는 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페인은 1967년 연어낚시 여행을 떠났다가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