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10
“2020년 10월 1일 9시 뉴습니다. 첫 소식입니다.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
발한 다양한 나노무기가 그간 영토와 에너지 문제로 갈등을 빚어온 주변국의 공격을 방어하는 데 결정 ... 재료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올해 국방과학연구소에 부임해 현재 국방소재
개
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스스로 배열하는 ‘똑똑한’ 분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10
1600회에 이른다. 세계 여기저기서 쏟아져 들어오는 강연 요청에 이 단장은 몸이 열
개
라도 모자란다. 이 단장은 국제 학술회의의 기조강연과 초청강연을 최근 3년 동안 30회 이상 맡았다. 나노조립체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단의 성과를 보여주는 지표다. 하지만 “나노조립체 연구는 이제 시작”이라며 ... ...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10
세기의 2배를 듣게 된다. (I는 한
개
스피커에서 도달하는 소리의 세기) 그러나 스피커 한
개
가 고장 났을 경우 관측자는 정상인 경우에 비해 절반인 세기로 듣게 된다.(세기레벨(고장) = 10log I/I0) 정상일 때와 고장일 때 세기레벨의 차이를 구하면 10log2≒3(dB)만큼 소리가 감소한다. 소리의 세기는 ... ...
누드달걀 과학 노트
과학동아
l
200810
용기가 터질 우려가 있다. ② 실험도중에 달걀이 터질 수 있으므로 누드달걀을 여러
개
만드는 편이 좋다. ③ 2배 식초에 달걀을 넣고 24시간을 넘기지 않는다. 더 오래 두면 흰자가 산에 의해 응고돼 속이 비치는 누드달걀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④ 식용색소를 탄 물에 넣을 때도 12시간을 넘기지 ... ...
황우석 박사, 복제 배아줄기세포 호주서 특허 등록 임박
과학동아
l
200810
황 박사를 포함해 총 19명이 포함돼 있다.호주 특허청은 출원된 총 50
개
항목 중 37
개
를 수용했다. 수용된 항목에는 인간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와 이를 만드는 방법이 모두 포함된다. 인간 난자에서 유전물질이 들어 있는 핵을 제거한 다음, 인간 체세포를 이식한다. 여기에 전기자극을 주면 융합돼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10
수염과 날카로운 어금니를 가진 바다표범이 포효하는 걸까.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불
개
미의 턱을 촬영한 사진. 배율 200배. 더듬이는 바다표범의 수염으로, 턱은 바다표범의 어금니로 표현했다.바닷속 유령입선·일반부 | 신상원·상명대 해양생물학과흉측하게 생긴 유령이 먹이를 찾아 떠도는 걸까. ... ...
아름다운 올림픽 챔피언 몸매
과학동아
l
200810
많이 남아 계속 힘든 운동을 해야 한다는 ‘나쁜 뉴스’도 전해준다. 결국 이제는 기술
개
선만으로 기록 경신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장미란이여, 이제는 기술로 승부해야 한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도 국민에게 좋은 소식을 전해주길 기대해본다 ... ...
조선해양공학 인재 키우는 인큐베이터
과학동아
l
200810
선박이다. 모모는 다른 동아리들이 선체가 두
개
로 이뤄진 쌍동선을 만들 때 선체가 세
개
로 이뤄진 삼동선에도 도전했다. 삼동선은 보조선체가 쌍동선보다 하나 더 많아 안전성이 높지만 배의 방향을 바꾸기 힘들어 경주에는 오히려 불리하다. 회장 이재훈(06학번) 씨는 “단순히 경주에서 이기는 ... ...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
과학동아
l
200810
한쪽 부두를 바다에 띄운 뒤 배의 폭에 맞춰 대형 프로펠러로 움직이는 이동식 부두를
개
발했다. 고정된 부두에 배가 닿으면 이동식 부두가 다가와 반대편에 또 다른 부두를 만드는 식이다.하이브리드 안벽은 현재 우리나라 항만 전체 선적 작업의 40%를 차지하는 환적(큰 컨테이너선의 화물을 작은 ... ...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
개
발
과학동아
l
200810
타깃은 단백질이므로, 단백질을 게놈 수준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프로테옴 연구는 신약
개
발의 핵심동력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HUPO는 전 세계 단백질 관련 연구자 3000여 명을 회원으로 하는 학술단체다. 내년부터는 연세대 생화학과 백융기 교수가 HUPO 회장으로 2년간 활동할 예정이다. HUPO의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