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7,75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과 알코올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112
빈 둥근 모양의 물구멍이 생기는 것이다. 물이 바깥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알코올도 포일
위
에 얇은 막을 이루며 퍼지게 된다. 이때 물과 알코올의 경계부에는 물과 알코올이 섞이기 시작하면서 물과 알코올 분자 사이에 서로 인력이 작용해 경계면이 잠시 진동한다. 그러다가 두액체가 완전히 서로 ... ...
착한 머슴이 된 별 토사공
과학동아
l
200111
덩치 작은 일꾼으로 변신했던 이 별은 바로 동양에서는‘하늘나라 토목공사를 맡은 고
위
관리’인 토사공이라 부르는 별이다. 서양에서는 고래자리의 버금별 데네브 카이토스로 불린다.또 덩치 작은 일꾼이 끌고 간 큰 소는 바로 하늘곳간 천창 별자리다. 천창 별자리는 서양의 고래자리에 해당한다 ... ...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
과학동아
l
200111
유구도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환경친화적으로 개선∙보존될 필요가 있으며, 유구
위
에 무분별한 복원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일이므로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 ...
철새가 V자 비행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11
결론이었다.철새들의 또다른 전략은 V자 편대 비행이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의 앙리
위
메르스커크 박사 연구팀은 모터보트와 초경량항공기를 따라가도록 훈련시킨 펠리컨들을 대상으로 심장 박동수와 날갯짓의 횟수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V자 대형을 지어 나는 펠리컨들이 혼자 나는 펠리컨보다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11
포말하우트로 청백색의 별이지만 지평선에 가까이 떠있어 약간 불그스름하게 보인다. 주
위
에 밝기를 겨룰만한 별이 없어서 가을밤의 고독한 사색가처럼 보인다. 5천년 전 페르시아인은 하늘을 다스리는 왕의 별로 보았다. 포말하우트는 아라비아어로 물고기의 입이라는 뜻이다.ㅣ도마뱀자리 LACERTA ... ...
손바닥
위
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11
소형 분석기구를 이용하면 각종 유해한 세균을 탐지, 식별할 수 있는 장치가 손바닥
위
에 실현 될수 있다.DNA칩이 개발되면 미래의 모든 사람은 가정에서 피 한방울만 갖고도 각종 유전병을 진단해 낼 수 있다. 또한 이런 검사는 매우 간편해 암이 몸 속에서 생기기 시작했는지 또는 바이러스에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11
한여름과 한겨울 자정 무렵 머리 꼭대기인 천정에 떠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
한 것이다. 봄과 가을 깊은 밤에는 은하수가 높이 뜨지 않는다. 이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의 공전궤도가 은하면과 평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다. 천구에 은하수를 그려보면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11
못하는 전진성 기억상실증에 걸린다. 그는 가정을 파탄으로 몰고간 범인을 추적하기
위
해 틈나는 대로 폴라로이드 사진을 찍고 몸에 문신을 새기며 기억을 연장시킨다. 그의 주변을 맴도는 정체 불명의 테디(조 판톨리아노 분)와 웨이트리스 나탈리(캐리 앤 모스 분)는 끊임없이 사건의 단서를 ... ...
양초가 불을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111
검은 부분은 불꽃심으로 그을음이 가장 많이 생기며 온도는 3백-4백℃ 정도다.양초 불꽃
위
에 종이를 덮으면 가장 바깥쪽의 겉불꽃이 닿은 부분이 온도가 높아 먼저 타기 때문에, 적당한 시간 후에 꺼내면 종이에 도넛 모양의 탄 자국이 생긴다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11
마찰력을 키워야 하듯이 플라잉 버트레스가 추력에 의해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일을 막기
위
해 추가적인 무게를 가하는 것이 이 소첨탑인 것이다.세번째 놀라운 고안은 리브 보울트라는 구조 시스템. 고딕 이전의 교회들은 보울트를 십자형으로 교차시킨 크로스 보울트를 주로 채택했다(그림 7).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