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우주가 태어난 과정을 좀더 상세히 밝힐 계획이다. 또 우주의 96%를 이루지만 아직까지
발견
되지 않은 암흑물질(과학동아 6월호 기획기사 참고-편집자 주)과 암흑에너지를 연구할 예정이다. 끈이론에서는 암흑물질이나 에너지가 우리가 볼 수 없는 칼라비-야우 공간에 숨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 ...
눈으로 배우는 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통해 만들기도 했지만 아직 주기율표에는 오르지 않은 상태였다. IUPAC은 가장 최근에
발견
된 원소인 원자번호 113번~118번(이론상으로만 존재하고 만들어지지 않은 117은 제외)을 대상으로 실험을 한 뒤, 이 두 원소만 등재 조건을 만족했다고 밝혔다. 이제 주기율표 상의 원소 수는 ‘113개 또는 그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연구 분야입니다.”신약표적 연구실은 화학물 라이브러리에서 혈당을 낮추는 물질도
발견
했다. 실험 결과 이 물질은 인슐린과 구조가 비슷해 몸속에서 마치 인슐린처럼 행동한다. 이 물질을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신약표적 연구실의 또 다른 장점은 생명과학과 함께 ... ...
앎의 기쁨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본 아름다움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 떠올려보세요. 그 안에서 흥미로운 탐구 주제를
발견
해봅시다. ※ 이 코너에서는 생활 속에서 탐구 주제를 찾아 연구하고 연구보고서를 작성하는 다양한 사례와 방법을 알려줍니다.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과학 실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수 있는 수학적인 탐구 대상이다. 수학자는 둥글거나 평평한 모양에서 수학 원리를
발견
해 어디에나 적용될 수 있는 일반 원리를 찾아낸다. 그러면 과학자는 이를 응용해 재료를 적게 쓰면서도 공간은 넓고 튼튼한 구조물을 만드는 식으로 다양한 곳에 활용한다. 비눗방울은 생활 속 수학을 보여주는 ... ...
[수학영재캠프] 다각형의 분할과 조립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특히, 쉬운 문제들을 쌓아서 아주 어려워 보이던 문제를 해결하는 기쁨도
발견
할 수있습니다. KAIST 사이버영재교육센터에서 2004년에 출제되었던 과제입니다.이번 과제에 대한 맛보기로 먼저 다음의 그림 맞추기 퍼즐들을 풀어보자.문제1 (1) 같은 크기의 2개의 정사각형을 몇 개의 조각으로 적당히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수학자 윌리엄 해밀턴은 수학의 한 분야인 대수학에서 새로운 수체계인 사원수를
발견
한 업적을 남겼다. 또 그의 이름을 딴 해밀턴 경로는 그래프에서 모든 꼭짓점을 단 한 번만 지나는 경로를 의미하는데, 이는 네트워크나 통신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해밀턴은 이 같은 업적을 남길 만큼 당대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8개로 이뤄진 십사면체가 정답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비누거품에서 이런 모양이
발견
되지 않았다. 1993년 웨이어와 펠란은 컴퓨터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들이 찾은 웨이어-펠란 구조는 십사면체 3쌍과 십이면체 1쌍이 결합해 기본 형태를 만들고, 이것이 반복되면서 어떤 공간에서도 표면적이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학생의 ‘수학, 그 미묘함과 복잡함의 세계- 케플러의 추측을 읽고’)유형 2. 수학적인
발견
을 담은 글거듭제곱식의 전개식에서 각 항의 계수는 x와 y를 배열하는 방법의 수라고 할 수 있다. x와 y의 지수는 배열해야 하는 x와 y의 개수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고를 바탕으로 조금 일반화 ... ...
인류조상, 40만 년 전에 불 사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나무 그릇을 비롯한 그을린 나무 등 불을 사용했다는 것을 말해 주는 총 119점의 증거를
발견
했지요. 그리고 이 유적은 모두 네안데르탈인의 주거지였던 것으로 조사됐어요. 연구진은 만일 이번 연구가 옳다면, 현생 인류의 조상이 어떻게 추운 유럽에서 불도 없이 살아 남았는지 더 밝혀 내야 한다고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