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성별에 따라 관여하는
부분
이 다르다. 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 좌측 측두엽의 일
부분
만 사용하는 반면, 여성은 우반구에 있는 다른 영역도 함께 사용한다.하지만 이런 차이가 여성과 남성의 인식과 행동양식에 어떤 관련이 있는가에 대해서 아직 과학자들은 답을 얻지 못했다. 다만 성별에 따른 뇌의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속함수가 끊기게 된다. 이때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연속함수로 이어주면 손상된
부분
이 자연스럽게 복원된 매끄러운 얼굴사진을 얻을 수 있다.이 교수팀에서는 이밖에도 나노분야에 필수장비인 원자현미경의 측정결과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현재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부분
을 붙이고 핵속으로 진입한 후에는 입자가 핵표면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
도 도입하고 있다.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앞으로 분자설계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많은 아이디어가 약물전달시스템에 등장할 것이다. 그 결과 언젠가는 꿈의 약물전달시스템인 나노로봇이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단백질을 누가 어떻게 선택하는가? E3 효소가 선택권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으나 극히 일
부분
만 밝혀진 상태다. 또 죽음의 키스를 받은 단백질을 누가 어떻게 프로테아좀으로 운반하는가? 분해돼야 할 단백질이 죽기 싫다고 버티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 세포 내에 단백질 쓰레기가 누적돼 치매 같은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나노엘리베이터 등장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체분자기계의 핵심
부분
만 모방해 좀더 간단한 구조를 갖는 합성분자기계를 만드는 연구도 활발하다. 이 분야에서 최초로 시연된 분자기계는 1999년 9월 9일자 ‘네이처’ 에 동시에 발표된 2종류의 분자톱니바퀴라고 할 것이다.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동물은 염소. 임신한 염소를 전신마취한 후 제왕절개한다. 자궁에서 태자의 뒷다리
부분
을 탯줄이 보이도록 꺼낸다. 사람 태아와 마찬가지로 염소 태자의 탯줄도 정맥(제대정맥)과 동맥(제대동맥)으로 이뤄져 있다. 제대동맥은 태아의 몸에서 태반 쪽으로 나가는 혈관이고, 제대정맥은 태반에서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칼슘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또 우주에서는 기압이 극도로 낮아지기 때문에 심장 혈관
부분
에 큰 무리가 온다. 따라서 심혈관 질환이 없는 것도 중요하다. 수술 경력이 있는 사람은 가벼운 수술의 경우 3개월, 큰 수술의 경우 6개월이 경과하면 별 문제가 없다.정신적, 심리적 건강 상태도 중요하다.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나이테를 주목해보자. 536-537년에 형성된 이 나이테는 다른 주변 나이테와 달리 가운데
부분
이 심하게 변형됐다. 이는 수액을 얼게 할 정도로 여름에 기온 이상 냉각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기상 재해는 근세 화산활동 사상 최대 화산 폭발로 불리는 인도네시아 크라카토아 화산의 전조인 젊은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오래된 생체분자의 하나가 포피린이다. 포피린은 헤모글로빈에서 산소가 결합하는
부분
인 햄이나 광합성을 일으키는 엽록소분자의 기본 골격이다. 그런데 최근 포피린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인공광합성시스템을 만들어 효율이 높은 태양전지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분자이기 때문.국내에서는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비트는 일이 잦았다. 하나하나가 모두 고쳐야 할 문제였지만 왜 그런지 도대체 어느
부분
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어떤 문제는 한달 넘게 해결되지 않았다. 그럴 때는 잠도 제대로 오지 않았다. 김정엽 씨는 “그래도 로봇이 처음 걸었을 때 희열을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 맛에 밤새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