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 파이프를 통해 그라운드 밖으로 나가게 된다. 이 파이프는 그라운드 가장밑에 거미
줄
처럼 촘촘히 깔려있어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라운드 가장자리에는 물이 최종적으로 모이는 지름 20cm의 파이프가 빙 둘러져 있어 물을 경기장 밖으로 배출한다. 물론 이 파이프는 구멍뚤린 파이프와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유소년 시기에 축구기술을 배울 때 패스가 직선 패스와 같이 단조롭고, 공을 받고나서
줄
곳을 몰라 우물쭈물한다는 사실을 문제점으로 들었다. 공을 받기 전에 패스할 곳만 미리 정해도 반응시간이 0.15초 정도는 빨라진다. 패스의 경우에도 간파당하기 쉬운 직선보다 대각선으로 패스해 공간을 ... ...
NT - 나노 세계에서 펼쳐지는 물질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수 있게 해준다. 심지어 가정부 로봇에게 집에 두고 온 강아지의 밥을 시간에 맞춰
줄
수도 있고, 정원을 아름답게 가꾸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또한 국제회의나 해외여행을 갔을 때에는 실시간 동시통역 기능을 통해 외국인과도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게다가 건강상태를 수시로 ... ...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한그루를 심어두고 봉황새가 내려앉는 날을 기다렸다. 사실은 임금님이 잊지 않고 불러
줄
‘사랑의 메시지’를 고대했던 것이다. 그러나 긴긴 세월이 아무리 흘러도 좀처럼 날아올 것 같지 않은 상상의 새 봉황을 기다리기보다는 우리 앞에 분명한 모습을 보이는 연리지를 기다리는 것이 더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위해서라고 한다.소리로 자신을 방어하는 동물도 있다. 많은 사람들이 나방 애벌레가 할
줄
아는 것이라고는 그저 먹는 일 밖에 없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최근 캐나다의 한 연구팀은 ‘갈고리 모양 나방’ 애벌레가 자기가 머무는 나뭇잎에 다른 애벌레가 침입하면 입으로 나뭇잎을 두들겨 ... ...
② 복제된 자손에게 핵 유전자만 전달된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것”이라고 밝혔다. 황 교수는 이와 함께 교사들이 최신 시사 과학문제에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부탁했다. 시사적 문제를 출제할 때는 좀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복제전문 과학자가 풀면 어떤 답 쓸까복제나 수정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가 자손에게 유전된다는 사실은 ... ...
ㅣ인간복제 반대ㅣ 인간존엄성 정면 도전하는 인간복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이뤄지고, 오히려 엄격한 기준에 따라 공인된 기관에서 연구를 허용해야 부작용을
줄
일 수 있다는 궤변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윤리적·사회적·생물학적인 문제를 갖고 있는 인간복제는 현재 보편적 인류 정서를 감안할 때 이와 관련된 연구 활동을 모두 법률로 금지해야 한다.인간복제 연구는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다가가서 직접 약을 먹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도 대형 정신병원에서는 환자들이
줄
을 서서 약을 타기도 한다. 그러나 약의 성분을 이야기해주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 실제로 환자가 약의 효과를 물으면 자세히 알려주는데, 그것이 치료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환자 스스로가 어떤 ... ...
버스에 숨은 첨단과학 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미리 인터넷 검색으로 버스의 위치를 파악하고 정류장으로 나가면 좀더 기다리는 시간을
줄
일 수 있다.도착안내시스템을 부천시가 처음으로 도입한 것은 아니다. 1996년 서울시가 종로에 시범적으로 실시한 적이 있고 1998년부터 과천시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XX번 버스가 XX분 후에 도착’과 ... ...
제1회 청소년 물리탐구토론대회 - 발표 · 반론 · 평론의 3박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진행되는 자리다. 청소년 물리탐구토론대회? 어떤 대회일까.학생 5명씩 한
줄
로 모여있고, 이런 학생팀이 모두 4팀이 둘러앉아 있다. 그러니까 청소년 물리탐구토론대회는 팀 대회인 것이다. 그리고 대회명에서 말해주듯 물리문제에 대해 탐구하는 대회다. 그런데 어떤 문제를 놓고 토론한다는 것일까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