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물"(으)로 총 5,9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코머핀만들기 준비물:크래커 컵 설탕 초코가루 젓가락 숟가락 1 컵에 크래커를 넣고 숟가포스팅 l20160115
- 초코머핀만들기 준비물:크래커 컵 설탕 초코가루 젓가락 숟가락 1 컵에 크래커를 넣고 숟가락으로 부순다 2 설탕과 초코가루를넣는다 3 물을 3분의2정도 넣고 젓가락으로 섞는다 4 전자렌지에 2분30초정도 돌린다(너무 많이돌리면 탄다 조심!!) 5 맜있게 먹는다 냠냠 ...
- 부산 깡통시장 야시장에서 물방울떡과 아이스크림튀김을 먹었어요. 물방울떡은 그냥 물맛젤리포스팅 l20160113
- 부산 깡통시장 야시장에서 물방울떡과 아이스크림튀김을 먹었어요. 물방울떡은 그냥 물맛젤리가 초코시럽과 콩가루에 빠진ㅋㅋ 아이스크림튀김은 맨처음엔 엄청뜨거워요 근데 먹다보면 이시려ㅠㅠ 그럼 굿밤하세요 송도에서...... ...
- 대구 시민 안전 테마파크 대구 시민 안전 테마파크 2관기사 l20160111
- 천장으로 올라가고 정전이 된다. 천장으로 올라간 연기는 잠시 후 바닥까지 내려온다. 바닥에 내려오기 전에 사람들은 한 손으로는 물에 적신 손수건등으로 코와 입을 막고, 또 다른 손으로는 벽을 더듬으며 몸을 낮춘 상태로 비상유도등을 따라 비상구로 탈출해야 한다. 세번째는 완강기 체험이다. 도르레 소리가 엄청 시끄러웠다. 완강기는 고리를 내 몸에 ...
- 구리만들기! 먼저 준비물! 알루미늄호일, 시험관, 시험관 마개, 황산구리(cuso4),포스팅 l20160105
- 시험관 마개, 황산구리(cuso4), 소금(clna), 물, 스포이드, 작은 스푼 1.먼저 알루미늄호일을 작게 찟는다. 2.물을 시험관에 6ml정도넣는다. 3.물에 황산구리를 작은 스푼으로 2번넣는다. 4.시험관을 마개로 막고, 흔들어 황산구리를 녹인다. 5.황산구리가 녹으면 작게찟은 알루미늄호일을 넣는다. 6.소금을 ...
- no.1 - 블롭피쉬의 탐사기록 바다에서 제일 신기하고 못생긴 동물기사 l20160105
- [via Blobfish Cafe, Worthly, Neatorama] 이번에 탐사한 동물은 블롭피쉬입니다. 블롭피쉬는 2013년에 세계에서 제일 못생긴 동물 1위로 선정되었습니다. 블롭피쉬는 눈은 사람처럼 생겼고, 우울할 때 생기는 입 ... 지느러미가 필요가 없는 것이죠. 블롭피쉬에 대한 정보는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
- 구지희님이 말한 치즈빵 못먹지많 방법 공유(^o^)b 밀가루에 물을넣고 도마로 밉니다.(늘포스팅 l20151231
- 구지희님이 말한 치즈빵 못먹지많 방법 공유(^o^)b 밀가루에 물을넣고 도마로 밉니다.(늘러붙지 않게 도마에 밀가루 뿌리구욤) 그위에 모짜렐래 치즈를 넣고 30초~에서1분으로 돌림니다. -끝- ...
- 젤리괴물.... 핑크→물되고 색x 노랑→색x 연두→젤리됨(사진) 하늘→물되고 색x 하양→괜포스팅 l20151226
- 젤리괴물.... 핑크→물되고 색x 노랑→색x 연두→젤리됨(사진) 하늘→물되고 색x 하양→괜찮.. 괜히샀네요..ㅎ ...
- 크리스마스에 퀴즈 하나 낼게요~^^ 아래 사진은 무엇일까요? 방긋 웃고 있는 모습이 다탐사기록 l20151224
- 크리스마스에 퀴즈 하나 낼게요~^^ 아래 사진은 무엇일까요? 방긋 웃고 있는 모습이 다 자랐을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귀엽네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힌트는 1. 프랑스에서는 비올레Violet라고 합니다 2. 껍질의 울퉁불퉁한 돌기에 구멍이 나 있어요. 3. 입수공으로 플랑크톤을 받아먹고 출수공으로 물을 뿜으며 자랍니다 4. 미더덕과 같은 ...
- 실험과학 포스팅 그 6번째! 모형 전통가옥 ㅇ 입니다 ^^ 저희가 직접 집을 지을 수는 없포스팅 l20151222
- 실험과학 포스팅 그 6번째! 모형 전통가옥 ㅇ 입니다 ^^ 저희가 직접 집을 지을 수는 없으니까 모형으로 ㅎㅎ 다른것두 있지만 설명하는데 제일 명확한 이글루만 올릴게요(죄송......) 이글루는 얼음집 입니다만 춥지 않아요 벽에 물을 뿌리면 오히러 따뜻해지죠 이게 전통가옥에 숨겨진 과학 원리랍니다^^ (징하게 선조들은 머리가 좋아...)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3회 파주 장릉을 다녀오다 누구를 위한 반정인가? 굴곡진 삶을 오롯이 닮은 인조 이야기기사 l20151221
- 수 없으나 조류는 그 반대이므로 균류가 조류에 기생하여 사는 형태라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일 것입니다. 이런 고착지의류가 석물에 오랫동안 붙어 있게 되면 수백년 풍화작용에 의한 손상보다 더 심각한 피해가 예상됩니다. 실제로 기자가 문화재청 담당자에게 문의한 결과 현재로서는 뽀족한 해결방안 없다고 합니다. 왕과 왕비가 합장된 무덤 형태인 합장릉 ...
이전4864874884894904914924934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