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DGIST 2023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석사 112명, 학사 91명 등 총 277명에게 학위를 수여했다. 박사 74명은 재학 기간 동안 SCI급
학술
지에 1인당 평균 약 6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지스트는 이번 학위수여식으로 지난 1993년 설립 이래 박사 1780명을 포함해 석사 4819명, 학사 1126명 등 모두 7725명의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했다 ... ...
잔인한 포식자 스피노사우루스는 물고기 사냥꾼으로 진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스피노사우루스가 물속을 헤엄치는 데 적합했을 거라는 증거를 골밀도에서 찾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육지생활을 하는 공룡들은 뼈 가운데가 비어있는데 스피노사우루스는 골밀도가 높아 물속에서 부력을 통제하며 사냥했을 거라는 분석이다. 앞서 아마추어 영국인 화석 수집가인 ... ...
[오늘과학] 3D프린터로 찍어낸 저지방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교수 연구팀은 3D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저지방 초콜릿 잉크를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식품 하이드로콜로이드’에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황 교수는 “모두가 초콜릿을 좋아하지만 건강에도 관심이 있다”며 “첫번째 ‘기능성’ 초콜릿을 개발한 것”이라 말했다. 초콜릿은 보통 코코아 ... ...
2주 복용 후 6년간 당뇨 발병 억제한 치료제..."매우 큰 진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한 몸에 받고 있다. 테플리주맙은 올해 본격적으로 미국 전역에 공급될 전망이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15일(현지시간) 1형 당뇨병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한 테플리주맙을 2016년 임상시험 당시부터 투약한 후 6년 반 동안 병이 발생하지 않은 미국 20대 여성의 사례를 이례적으로 소개했다. 앞서 ... ...
장과 신장 연결한 인공 모사체, 3D 바이오프린팅으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포스텍은 조동우·장진아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리뷰'에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장성 과수산뇨증은 장에서 수산 흡수가 늘어나 소변으로 수산 배출이 늘어나는 염증성 장질환이다. 매년 빠르게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지만 치료법을 ...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10년 후 북태평양 확산...농도는 10만분의 1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중국 제1해양연구소와 칭화대는 각각 2021년과 20222년 오염수 시뮬레이션 연구결과를
학술
지에 게재한 바 있다. 10년간 총 900조Bq의 삼중수소를 방출하면, 5년 후에 약 0.001 Bq/m3의 농도로 한국 해역에 도달한다는 등의 분석이다. 과학자들은 삼중수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두고 논쟁하고 있다. ... ...
3시간 동안 정자 기절…남성용 먹는 피임약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연구팀은 정자의 운동을 억제하는 화합물인 ‘TDI-11851′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14일(현지시간) 게재했다. 그동안 남성 피임약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지만 낮은 효능, 부작용 등 단점 때문에 남성 피임법은 콘돔과 정관 절제술로 제한됐다. ... ...
WHO “코로나19 근원지 조사 중단 보도는 오보”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대유행의 근원지를 밝히기 위한 조사가 중단됐다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보도에 대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전날 네이처는 중국의 협조 부족으로 WHO가 코로나19 근원지를 찾는 2차 조사를 올해 초 포기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15일(현지시간) ... ...
양자점 발광 효율 100% 구현 초균일 반도체 껍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임재훈 성균관대 에너지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연구성과를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핵 표면이 껍질로 덮인 양자점 발광체는 이론상 한 겹에 해당하는 약 0.3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의 껍질만으로도 100%에 가까운 ... ...
수소차 연료전지 발전성능 2배로...IBS 현택환 단장 연구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중립을 위한 수소 경제 달성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에너지와 환경과학’에 지난달 30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