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d라이브러리
"
이름
"(으)로 총 5,512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05
임이 틀림없다.천체 사진에 적합한 기종톰 존슨이 2백㎜ f/10의 셀레스트론이라는
이름
의 슈미트-카세그레인 타입 망원경을 선보인 후 아마추어들의 관심은 반사굴절시스템에 모아졌다. 이 방식은 천체사진 촬영에 적합한 광학계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1930년 슈미트가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05
손바닥으로1945년 미국 펜실베이니어 대학의 모클리와 에커트에 의해 에니악(ENIAC)이라는
이름
의 컴퓨터가 만들어졌을때 전세계 사람들은 인간이 할 일들을 기계가 대신 한다는 인류의 꿈이 실현된다고 좋아했었다. 1만7천4백68개의 진공관을 사용하던 에니악의 무게는 30t, 사용된 전선의 길이가 1백3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04
이 형태의 변광성으로 최초로 밝혀진 케페우스자리(Cepheus) 델타(δ)별의
이름
을 따서
이름
붙여졌다. 지금까지 대략 5백개 정도의 케페이드가 알려져 있는데, 그 변광 주기는 1~55일 사이이다. 케페이드들의 광도 변화 곡선은 모두 유사하며 극대점으로 올라가는 것보다 극소점으로 떨어지는 것이 ... ...
2 매킨토시의 응용분야 탁상출판과 멀티미디어 개념 창조
과학동아
l
199104
그래픽 사운드 등을 한꺼번에 지원하는 일종의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이다. 즉
이름
자체에서 알 수 있듯이 카드 단위로 된 정보를 자유롭게 연결하여 어떠한 작업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들 데이터는 스택(stack)이라 불리는 저장 장소로 각각 분리되어 저장된다. 하이퍼카드는 일종의 간단한 ... ...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
과학동아
l
199104
한다. 시판되는 전자수첩은 기록가능한 숫자상한으로 3천명 정도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름
과 전화번호 팩시밀리번호가 기재될 분 아니라 개인의 간단한 신상명세를 담는 데이터베이스도 만들 수 있다. 개인기록은 입력과 동시에 알파벳 순으로 정리되므로 자료를 찾을 때도 무작위 검색이 가능하다 ... ...
고향 찾아가는 희귀한 말
과학동아
l
199104
바로 거기에서 박물학자들은 그 말이 보통말과 같지 않은 종자임을 발견했다.탐험가의
이름
이 니콜라이 펄저왈스키였던 까닭에 그 말 또한 펄저왈스키의 말이라 부른다. 우리가 익숙해 있는 평범한 말, 즉 수레를 끌고 경마장에서 뛰는 말들은 과학용어로 "에쿠우스 카발루스"(라틴어로 "말의 말" ... ...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04
'천재' 원숭이가 이 해묵은 논쟁에 다시 불을 붙이고 있다. 주인공은 칸지(Kanzi)라는
이름
의 난쟁이원숭이. 칸지는 자기종족 누구보다도 많은 어휘를 알고 있다. 칸지를 연구해 오고 있는 UCLA 심리학과의 패트리시아 그린필드교수는 칸지의 언어능력이나 지적 수준이 '두살짜리 어린애 정도'라고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04
불러야 할 것이다.드디어 IBM의 작품이 SSEC(Selective Sequence Electric Calculator)라는
이름
으로 세상에 나왔다. 수석엔지니어는 프랭크 해밀턴과 수학자인 시버였다. SSEC는 1947년 완성되어 1948년 2월초까지 시험운영되었다. 더러 진공관이 말썽을 피우기는 했지만 1948년 1월 28일 공개시범에서 SS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04
목성의 영어
이름
인 주피터(Jupiter)는 올림푸스 신들의 왕
이름
에서 붙여졌다. 목성은
이름
그대로 '행성의 왕'인 셈이다.목성은 금성 화성과 함께 육안으로도 선명하게 보이는 행성으로 특히 작은 망원경을 가진 아마추어들에게는 가장 인상적인 천체로, 흥미있는 관측 대상이 되고 있다. 그것은 목성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04
즐겨했던 조선의 숙종은 한 마을에서 아주 맛있는 나물을 접하게 된다. 그는 이 나물의
이름
을 한 농부에게 물어 보았는데 농부는 어쩌면 그것도 모르냐면서 불문가지(不問可知)나물이라고 대답해 주었다. 대궐에 돌아온 숙종은 매일 불문가지나물 타령을 했는데 영문을 모르는 신하들은 참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