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도
도면
d라이브러리
"
지구도
"(으)로 총 6,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서류, 세계 곳곳서 급속 감소 현상
과학동아
l
199507
세계 각지에서 개구리나 두꺼비 등이 감소하고 있다. 장소에 따라서는 아예 자취를 감춘 곳도 있다. 이같은 사실은 지구규모의 현상으로 1990년에 처음 확인되어 주목을 끌었다. 이는 양서류의 존속 위기를 나타낼 뿐 아니라 환경의 전체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 때문이다.양서류는 환경의 ... ...
전파망원경 고감도 수신기 개발
과학동아
l
199507
천체에서 발생되는 우주 전파는 강도가 아주 미약해 포착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전파를 수신하는 접시의 지름이 동급인 이상, 이를 감지하는 전파망원경의 성능은 고감도 수신기가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천문대 산하 대덕전파천문대 한석태 연구팀은 3년간의 연구 끝에 초전도체를 ... ...
4. 천문학계 새 스타로 각광
과학동아
l
199507
X선 발견은 천문학의 새 지평을 열어 주었다. 이론적 존재에 머물렀던 블랙홀 후보를 찾아냈고 고밀도별의 물리적특성과 주위환경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사람들은 이렇게 묻는다. "블랙홀은 빛조차 빨아들인다는데 우리가 어떻게 그것이 블랙홀인줄 알지요?" 그 대답은 간단하다. "X선 ...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507
수많은 인명을 살상한 흑사병의 원인체는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말았지만, 숙주를 괴롭히기는 하나 죽이는 법은 거의 없는 감기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계속 번성하고 있다. 미생물도 자신을 순화해야 오래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얼마 전 농구계의 마술사라 불리는 어느 미국선수가 농구 묘기 ... ...
지구과학- 돋보기 2개로 만드는 굴절망원경
과학동아
l
199507
망원경의 원리는 무엇일까? 알고 보면 간단하다. 돋보기 두개만 있으면 우리도 망원경을 만들 수 있다.망원경을 발명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각종 연구서와 자료를 쌓아놓고 연구하던 학자냐구요? 아닙니다. 망원경은 네덜란드의 한 안경상인이 렌즈 몇개를 겹쳐가며 풍경을 보다가 만들어낸 작품입 ... ...
열대림 모든 생물종의 카탈로그 작성
과학동아
l
199507
지구상에서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생태계는 단연 열대우림이다. 지금 열대림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총목록을 만드는 작업이 중미 코스타리카에서 시작되고 있다. 땅에서 나뭇가지 끝까지, 박테리아에서 포유류까지 모든 것을 조사하여 기록하는 거대한 프로젝트다. ATBI(All Taxa Biodiversity ... ...
도심 속 자연 그린 빌딩
과학동아
l
199507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존을 동시에 추구하는 그린빌딩 건설기술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가 1994년부터 2004년까지 10년간 약 2백50억원을 들여 3단계에 걸쳐 개발하게 되는 그린빌딩 건설기술은 무엇인가. 지구의 기후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90년대 들어 지구촌 곳곳에서 발 ... ...
곤충들의 짝짓기
과학동아
l
199506
곤충들은 각자 신체구조상 가장 적합한 형태로 짝짓기와 수정의 패턴을 발전시켰다. 이는 우수한 후손을 남기기 위한 치열한 싸움의 결과이기도 하다.곤충의 짝짓기란 종족보존을 위해 암 수컷이 서로 성기를 결합시켜 자기와 같은 개체 생산을 기도하는 생식수단이다. 이 점은 우리 인간을 비롯한 ... ...
태양계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06
자외선으로 본 금성의 핑크빛 대기HST WFPC-2가 자외선으로 찍은 금성의 모습. 지난 1월24일에 촬영한 것으로 당시 지구-금성간 거리는 1억1천3백60만km. 사진에서 핑크빛으로 화려하게 '메이크 업'한 금성 대기는 황산 구름층이다. 이 구름층이 화산성 지형으로 이루어진 표면을 담요처럼 덮고 있다.자외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
과학동아
l
199506
94년 10월 카네기천문대의 여성천문학자 프리드만은 허블망원경을 이용, M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우주의 나이가 80억년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이 관측결과는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우주에 대하여 수없이 많은 궁금증을 가지게 된다. 그 중의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