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서┃우주 동결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은하가 분해되지는 않는다. 다만 은하 사이의 간격은 점점 벌어진다. 그렇게 2000억 년 쯤 지나면,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 안에는 우리은하와 이웃한 안드로메다 은하, 삼각형자리 은하 정도만 남게 될 것이다. 시간이 더 흐르면 별을 만드는 재료가 점점 사라진다. 수소와 헬륨은 별이 탄생할 때 ... ...
- [화보] 세포vs 병원체 몸속 슈퍼히어로의 전투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시뮬레이션으로 생물학적인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고 있어요. 약 20년 동안 세포를 둘러싼 외부 환경과 세포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눈에 보이게 형상화하는 연구를 개척해 왔습니다. 또 ‘단백질 정보은행’이라는 연구 정보 공유 사이트에 매달 그림으로 새로운 분자의 기능과 구조를 ... ...
- [수학뉴스] 한국, 제31회 아시아태평양수학올림피아드 종합 1위수학동아 l2019년 07호
- 3월 12일 열린 제31회 아시아태평양수학올림피아드(APMO)에서 한국 학생들이 종합 1위를 차지했습니다.1989년 처음 시작한 APMO는 아시아와 태평양 연안 국가에 사는 ... 받았어요.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단 두 차례를 제외하고 1위를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좋은 성적 거두길 바랍니다 ... ...
- [수학뉴스]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수학자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975년 7월 17일, 호주의 애들레이드에서 태어난 중국계 호주-미국인 테렌스 타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교수는 어릴 때부터 수학에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만 11살 때 역대 최연소로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해 동메달을 받았고, 그 이후에도 두 번 더 참가해 각각 은메달과 ...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오늘은 놀라운 이야기를 해드리겠습니다. 물론 제 얼굴 이야기는 아니고요, 적어도 119년 된 수학 문제가 최첨단 자율주행차 개발에 도움을 준다는 소식입니다. 대체 무슨 말이냐고요?자율주행차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차 안에 앉은 사람이 운전대에 손을 얹지 않고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는 ... ...
- 후보4. 게임 이론의 숨은 공신 사자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참가자들이 얻는 이득을 따진 뒤 거꾸로 추론해 최선의 전략을 찾는 방법이에요. 1988년 스티븐 브람스 미국 뉴욕대학교 정치과학부 교수와 마크 킬고어 캐나다 윌프리드 로리에르대학교 교수는 ‘전략과 결정’이란 책에서 3명의 참가자가 하는 대표적인 순차적 게임과 후진 귀납법을 ... ...
- 3차원에도 황금비가 있다, 플라스틱 수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가진 수 1.32471…입니다. 이 수가 왜 3차원 황금비로 불리는지 알아볼까요? 기원전 300년경에 활동한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는 기하학에 관한 자신의 책 ‘원론’에 선분을 나누는 문제를 설명했습니다. 이 문제의 답이 1.61803…이었지요. 후대의 학자들이 이 수를 황금비라 부르며 자연과 ... ...
- [수학미술관]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수학! 더 뮤즈 : 드가 to 가우디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가로 3m, 세로 2m가 넘는 거대한 그림을 작은 점을 찍어 작업해 완성하기까지 무려 2년이 걸렸습니다.이런 점묘법의 원리는 인쇄물이나 모니터 화면과 같은 현대 기술에도 쓰입니다. 모두 삼원색의 조합으로 이뤄져 있어 인쇄물을 자세히 보면 작은 점들의 집합으로 나타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 ... ...
- 탐험┃중국, 달 뒷면 찍고, 다음은 화성으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뒷면 최초 착륙 등 명실상부한 우주 강국으로 성장한 중국은 2021년 중국 공산당 창건 100주년에 맞춰 화성 탐사선의 궤도 진입부터 착륙, 탐사 활동까지 한 번에 성공시키겠는 목표로 임무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달 뒷면 찍고, 다음은 화성으로2018년 12월 중국은 창어 4호를 달 뒷면에 최초로 ... ...
- 탐험┃목성 & 토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NASA)의 파이오니어 11호가 1979년 토성에 최초로 접근했고, 보이저 1호와 2호가 각각 1980년과 1981년 토성을 근접 비행했다. 이를 통해 토성의 북극에는 초속 322km에 이르는 제트 기류가 3만km에 걸쳐 육각형 모양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본격적인 토성 탐사는 2004년 7월 토성 ...
이전487488489490491492493494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