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처 김진현 장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원전과 관련된 어떤 프로젝트도 국민적 합의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교훈을 미리 배운
셈
이다. "과학기술을 위한 범국민적기구를 발족시켜 전국민을 대상으로 국민이해사업을 전개하겠다"는 아이디어가 '책상위의 계획'에 그칠지, 아니면 어느 정도의 결실을 맺을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소련을 위시한 ... ...
「컴덱스90」을 통해 드러난 91년 컴퓨터 유망상품 7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연결된 줄 때문에 '쥐'처럼 생겼다는 뜻에서 마우스라고 불렸으나 이제 꼬리가 떨어진
셈
이다. ■위지윅 워드프로세서제품명 : 아미 프로페셔널(Ami Professional)제조회사 : 삼나(Samna Corp.)한글 워드프로세서가 여럿 있지만 가장 인기있는 것은 서울대학생들이 만든 '한글'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존재했다면, 생물체에서 볼 수 있는 분자들을 합성할 수 있는 주요 성분들은 마련된
셈
이다. 오늘날의 지구와는 달리 원시지구에 풍부하였던 방사능, 태양의 강력한 자외선, 분출하는 활화산에서 비롯되는 열, 천지를 진동하는 천둥번개의 전기방전 등이 여러가지 유기물분자를 합성하는 에너지를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땅을 밟은 것은 지난 1972년이었습니다. 2차대전 이후 양국간 최초의 생물학 교류였던
셈
인데 사실 헝가리는 19세기부터 우리와 생물지리학적으로 관련이 깊은 동유럽 소아시아 지역의 생태를 연구해 왔기 때문에 거리는 멀어도 동물지리구상 같은 구북구(舊北區)에 속하는 북한연구는 우리에게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따라서 결정체를 여러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자유가 과학자에게 허용되는
셈
이다. 이러한 자유를 통해 과학자는 물리법칙을 위배하지 않으면서도 반복성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동식물과는 다른 모습일지도우주론의 역사는 "전체를 잘 설명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가는 과정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것이다. 따지고 보면 벌레도 못 먹는 약에 절인 채소를 우리는 일상적으로 먹고 있는
셈
이다.농약의 남용은 토양오염을 필연적으로 초래하고 우유 소 사람 등이 2차 3차 오염의 피해자가 된다.우리는 이렇게 오염되어 가는 환경을 그대로 두고 볼 수는 없다. 방치했다가는 인류전체의 멸망을 앞당기는 ... ...
열등의식의 해소수단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청소년기에 마땅히 누려야 할 다양한 생활경험과 풍부한 사고의 기회를 박탈당한
셈
이다. 좋은 의미의 방황기를 갖지 못한 채 꽃다운 청소년기를 소멸시켜 버리는 것이다.대학진학 후에 갈등을 겪는 경우도 종종 있다. 과중한 입시준비 때문에 미처 처리되지 못하고 내재돼 있던 청소년기의 갈등이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관련된 우주항공기술은 국제간 기술 마찰이 매우 심하나 가속기분야는 상대적으로 덜한
셈
이다. 원래 이론적인 분야이고 워낙 규모가 큰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국제협력을 하지 않으면 건설 조차 힘들기 때문이다. 현재 PLS연구소측에서는 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 중국등과 활발히 기술협력을 수행해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된다. 이 고래의 갓낳은 새끼도 몸길이가 7m, 무게는 2t. 자그만치 성인의 30배 가량 나가는
셈
이다.병코돌고래는 주로 대서양에서 서식하고 있다. 이들이 바로 수족관에서 멋진 연기를 보여주고 '플리퍼'라는 이름으로 영화나 TV에 출연하는 놈들이다. 이들은 늘 무리를 지어 행동하는데 동료가 상처를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주사한 뒤 4~5년이 걸려 쿠루병을 발병시키던 연구의 초창기에 비하면 대단히 빨라진
셈
이다. 하지만 긴 잠복기는 아직도 연구의 진척에 커다란 장애요인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서구의 연구자들이 포레족으로 하여금 뇌를 먹는 의식을 포기하도록 한 결과, 다행하게도 이 부족에서의 쿠루병은 그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