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큰 난관이다. 크기가 꽤 큰 Cas9 단 백질을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다. 아직까지는 우리에게 시간이 꽤 남아있다. 남은 시 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인간과 크리스퍼의 미래 를 결정할 수 있다. 인간이 처음으로 가진 무서운 힘 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 크리스퍼를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쓰는 주의력을 '목표지향적 주의력'이라고 하는데, 이 주의력은 쉽게 피로해진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 짜증만 나고 도무지 능률이 오르지 않는 상태에 빠진다. 이때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유유자적하는 주의상태'를 경험하는 게 더 좋다. 즉, 가볍게 흔들리는 나뭇잎과 하늘의 구름, 부드러운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제조에 반 년이 걸리고, 전통적인 방식대로 메주에 미생물(곰팡이 등)을 키워 만들면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반면 묽은 식용 염산을 이용하면 며칠이면 제조가 가능하다. 대량생산의 길이 열린 것이다. 게다가 분해 효율이 좋아 거의 완전한 단백질 분해가 가능해 간장의 향과 맛도 좋은 편이다(우리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이 소장은 “모든 광물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말해요. 광물이 만들어지는 오랜 시간 동안에 이야기를 추측해 낼 수 있거든요.그렇다면 광물은 어디서 만들어지는 걸까요? 광물은 아주 다양한 곳에서 만들어져요. 지하에서 마그마가 천천히 식으면서도 만들어지고, 지하수가 흐르는 곳에서도 ... ...
- 치아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닥터 그랜마, 이 유전자를 이용해 자기 치아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되려면 오랜 시간이 걸려요. 그러니 남아 있는 치아를 건강하게 지키는 게 중요해요. 그러려면 충치균이 좋아하는 초콜릿 도넛 같은 단 음식이나 치아를 부술 수 있는 딱딱한 음식을 피하세요. 그리고 음식을 먹은 뒤에는 꼭 이를 ... ...
- 새로운 수학교육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과 심화 활동을 하는 새로운 수업 방식입니다. “수업 시간에는 개념을 이해하지 못했더라도 동영상 강의는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 다시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영상을 적절히 활용하면, 학습 수준에 상관없이 학생 스스로 이끌어 가는 수업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계절이 상관없게 돼 버린다.화성의 하루(24.62시간)를 24시간으로 만들어 보자. 화성의 1시간을 지구의 1시간 1분 40초로 정한다. 과거 화성탐사선들이 썼던 방식이다.달력은 더 손질이 필요하다. 우선 새로운 1년은 668화성일(1화성일=1.027지구일)로 정했다. 12에 익숙한 우리는 24개월로 새로운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저장하지 않고 ‘70’이라고 저장했다. 컴퓨터 저장 공간을 아끼고, 데이터처리에 드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다.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앞에 두 자리를 더하는 것이 어려운 일은 아니었지만, 이전의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같은 표기법을 사용했다. 이 방법은 2000년을 앞두고 큰 문제가 ... ...
- [Hot Issue] 공룡 이전, 최상위 포식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거 아니에요? M 어머, 얘 말하는 것 좀 봐. 이 XXX아. 기자 여러분!!! 진정하세요~!(한참 시간이 지난 뒤)M 휴…, 기자님도 들으셨죠? 아까 쟤 말하는 거. 내가 그래도 자기보다 선밴데 저렇게 말해도 돼요?C 선배는 무슨 선배. 어차피 다 화석으로 추정한 연대 아니에요? 저 언니나 나나 2억 년 전으로 ...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다이아몬드는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것이라도 연대가 최소 7000만 년은 되는데, 그 긴 시간 동안 광물 덩어리를 품거나 결을 따라 밀려난 흔적이 생긴다. 이를 ‘내포물’이라고 한다. 산지가 달라도 내포물의 특징은 거의 비슷하다.얼음 속에 갇힌 공기처럼 보이지만, 다이아몬드에 기체나 액체 ... ...
이전487488489490491492493494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