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스페셜
"
이상
"(으)로 총 5,75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받고 기적처럼 회복됐다. 그러나 수술로 발음이 불분명하나마 할 수 있었던 말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됐다. 그 뒤 호킹은 특수장치로 뺨을 움직여 문장을 만들고 우리도 한두 번은 들어본 적이 있는 음성 합성기로 ‘말했다’. 한편 오랜 세월 남편을 간호하던 제인이 지쳐감에 따라 서로 사이가 ... ...
[속보] 영국의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그가 1988년 펴낸 대중과학서적인 ‘시간의 역사’는 발간 직후 전 세계에서 1000만 권
이상
팔리며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영국의 ‘런던 선데이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 237주 동안 실리는 최고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공감각은 뇌에서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네트워크의 배선
이상
에서 비롯된다. 즉 소리정보가 소리지각을 담당하는 부위로만 가는 게 아니라 색을 처리하는 부위로도 연결돼 소리자극을 색상으로 지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배선의 전선은 신경세포(뉴런)에서 나온 축삭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
동아사이언스
l
2018.02.25
(月자) 그림의 맨 왼쪽 선만 6만4000년 전
이상
으로 연대측정됐고 나머지는 1만3000년 전
이상
으로 나왔다”며 “’선 하나를 그릴 수 있는 능력’과 ‘복합적인 이미지를 그릴 수 있는 능력’ 사이에는 인지적으로 차이가 크다”고 밝혔다. 사이크 연구원은 “벽화 전체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9일이 지나자 모두 죽었다. 반면 그냥 과당 용액을 먹은 초파리들은 9일 뒤에도 90%
이상
살아남았고 염화칼슘이 1mM 농도로 포함된 과당 용액을 먹은 초파리들은 거의 다 살아남았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이번 연구의 발견은 다른 동물에서도 칼슘 이온의 맛이 불쾌하게만 감지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마찬가지로 이 개체들이 2028년에도 살아있다면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수명은 ‘40년
이상
’이 된다는 말이다. 사람은 8년 주기로 사망률 2배가 돼 그렇다면 연구자들이 벌거숭이두더지쥐가 늙지 않는다고, 즉 이론적으로는 영생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일까. 동물의 노화속도를 나타내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한다 (Scheier & Carver, 1993). 하지만 문제는 긍정적인 사고 자체로는 기분이 좋은 것
이상
의 효용이 존재하지 않으며, 긍정적인 사고가 ‘행동’으로 이어져야만 그 이득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Rand, 2009). 일례로 나는 충분히 똑똑하기 때문에 공부만 열심히 하면 시험을 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6년 화산폭발지수 7에 달하는 대폭발을 기록한 바 있다. 화산학자들은 화산폭발지수 7
이상
의 화산을 슈퍼화산이라 부른다. 특히 백두산의 폭발은 새로운 천년이 시작되기 직전 가장 강력했던 화산 활동이란 뜻으로 ‘밀레니엄 대폭발’이란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다. 계속된 화산 활동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숫자가 늘어나지는 않았다. 대신 클로스트리디움이 내놓는 독소(toxin B)의 농도는 두 배
이상
높았다. 즉 트레할로스를 대사하는 과정에서 독소를 더 많이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모른다. 그렇다면 트레할로스가 식품첨가물로 쓰인 이래 사람들의 장 속에 RT027이나 RT07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전이 일어나는 첫 단추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8
명 중 2명
이상
은 암에 걸려도 완전히 치료되는 세상이 됐다지만 암은 여전히 무서운 질병이다. 몸에 종양이 발견되면 종양과 주변 조직을 검사해 단순 종양인지, 암인지 판단하고 또 다른 부위로 전이되지 않았는지도 살핀다. 상태가 심각한지 아닌지를 전이 여부를 통해 판단하는데, 암이 다른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