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핵심
한가운데
복판
센터
중추
center
d라이브러리
"
중심
"(으)로 총 5,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완전히 같은 정도였다고 믿고 있다.런던 자연사 박물관의 크리스토퍼 스트링거 박사를
중심
으로 한 학파는 네안데르탈인들이 약 20만 년전에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현생 인류의 조상에 밀려 사멸하고 말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미시간 대학의 밀포드 월포프 박사가 이끄는 또 다른 학파는 ... ...
왼쪽, 오른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양쪽에 있다.그동안 왼손잡이들은 비관적인 고정관념에 시달려야 했다. 오른손잡이
중심
의 세계에서 씨름하는 왼손잡이 어린이들은 읽기를 잘못하거나 말을 더듬는 증세를 보이기 쉽다. 여러 연구결과들은 왼손잡이들이 각종 신체적 병을 얻기 쉽고 더욱 빨리 사망하며 더 많은 사고를 당하고 ... ...
(1) 생명의 신비 추적, 구조식 그린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정착될 것이다. 이 산업기술은 화석연료인 석유와 석탄이 고갈될 21세기에
중심
산업으로 부상, 신생물산업사회를 구축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신생물산업사회는 녹색혁명과 함께 인류를 건강하고 풍요롭게 하며 깨끗한 환경을 제공해 줄 것이다 ... ...
돌비시스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사용되기 시작해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돌비 잡음감소시스템과 80년대 이후 영화관을
중심
으로 확산된 돌비 입체음향재생시스템이 그것이다. 둘다 음향 관련시스템이긴 하지만 적용대상이나 신호 처리방법 등이 완전히 다르다.이미 우리와 친숙해진 돌비잡음감소시스템은 테이프의 녹음 및 ... ...
방사능 피해 α입자가 문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전파생물학(radio biology)팀은 방사선 중에서도 밀도높게 이온화되는 알파(α)입자를
중심
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α입자는 이온화의 밀도가 낮은 X선이나 감마선보다 인체를 잘 투과하지 못한다.연구팀은 백혈구나 적혈구로 아직 성숙하지 않은 간세포(stem)에 이 알파입자를 쬐었다. 그 ... ...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수명이 3.3년 준다'는 말이 있다. 즉 허리둘레와 수명길이가 반비례한다는 얘기인데 이는
중심
성 비만증(복부비만)의 위험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허리둘레가 지나치게 굵은 사람을 흔히 '배사장'이라고 부른다. 체지방이 몸전체에 골고루 퍼져있는 사람은 건강상 별 문제가 없으나 이 '배사장'들은 ... ...
윈도우의 시대는 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윈도우 3.0'이라는 혁신적인 운영체제다.지금까지 화면에 일일이 명령어를 써넣던 문자
중심
의 사용자환경인 도스의 CUI(Character User Interface)방식에서 탈피, 그림으로 미리 상징화시킨 명령어를 마우스버튼으로 꼭꼭 눌러줌으로써 PC를 사용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방식을 새롭게 채택한 윈도우는 3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하지만.사회 갑자기 성토장이 돼버린 것 같군요. 거제도연안 탐사에서 보고 느끼신 점을
중심
으로 말씀해 주시지요.윤무부 거제도는 제 고향입니다. 어려서부터 새들을 좇다보니 평생을 새와 더불어 살게 됐습니다. 해가 갈수록 거제도연안의 종과 수가 줄어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보통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댐건설에 따라 여러가지 생태적 재해가 일어나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1919년 그랜드 캐년
중심
부의 2천6백㎢가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근래에는 해마다 1천5백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세계적인 명소가 되었다. 이곳에서는 뗏목 자동차 비행기가 관광에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노새를 타고 천천히 ... ...
초대형 대합 인공 양식에 성공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聖水盤)으로 쓰였던 거대한 대합(giant clam)을 식용화하는 작업이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
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실 그동안 대합류는 해중 생태계의 주요한 식량원 중 하나였는데 연근해의 오염으로 인해 점차 자취를 감춰가고 있는 상태였다. 환경오염 물질은 특히 대합의 좋은 먹이인 조류(algae)에 ... ...
이전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