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191건 검색되었습니다.
레고처럼 원하는 기능 맞춤형 조립하는 'AI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광통신 AI 칩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발표
했다. AI칩은 영상과 음성 인식처럼 한 분야를 심층 학습해 인간보다 나은 능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장치다. 이런 이유로 한번 학습한 AI칩을 다른 분야에 활용하려면 처음부터 다시 학습시키거나 아예 ... ...
미국 5세 미만 코로나19 백신 접종 눈앞…효능 논란에 얼마나 접종할지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5세 미만 접종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미국 건강정책기관 KFF가 지난달 4일
발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5세 미만 부모 중 18%만 자녀에게 즉시 접종을 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27%는 백신 접종을 전혀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38%는 기다리겠다고 답했고 11%는 필요한 경우에만 접종하겠다고 밝혀 ... ...
중국 연구팀 "외계신호 포착"주장에…천문학자들 "인간이 만든 무선신호 오인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2년 후 이 신호가 인간 장비의 오작동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연구를 추가
발표
했다. 2011년에서 2014년 사이 호주 파크스 전파망원경에서 측정된 외계에서 온 것으로 추정됐던 신호는 실험 결과 과학자들이 점심을 전자레인지에 돌리면서 전자레인지를 여닫을 때 발생한 것으로 ... ...
[프리미엄리포트]자율주행로봇 도입하면 배달비 내려갈까
과학동아
l
2022.06.19
배송에 활용될 로봇을 공개했고, 지난 3월 구글은 라스트마일 배송에 쓰일 솔루션을
발표
했습니다. 국내에서도 현대차와 카카오, 네이버 등이 라스트마일 관련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는 배달비가 오르면 빠르게, 오르지 않는다면 천천히 찾아올 것입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 ...
[표지로 읽는 과학]지구온난화 적응에 나선 북극곰 가족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북극곰들과는 다른 생활 방식을 갖고 있는 소규모 북극곰 집단을 발견했다고 지난 16일
발표
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17일 발간한 최신호의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한반도보다 10배 가까이 넓은 빙하 섬 그린란드에는 약 2만6000마리의 북극곰이 살고 있다. 대부분 북극곰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에 적응하는 식물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6.18
대기 중 비율을 나타내는 부분압을 읽을 수 있도록 유전적으로 적응했다고 네이처에
발표
했다. 연구결과는 1일 온라인으로 먼저 공개됐다. 연구팀은 유채와 토마토, 양귀비, 야생잔디 등 고지대와 저지대에 걸쳐 자라는 다양한 속씨식물군을 분석했다. 그 결과 속씨식물의 엽록소 전구체가 산소 ... ...
[2022 필즈상 후보](9) 기후변화 예측하는 방정식을 푸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2.06.18
연구도 여러 편이 포함됩니다. 코윈 교수가 수학계에서 처음 주목을 받은 연구는 2011년에
발표
한 박사 학위 논문입니다. ‘카타르-파리시-장(KPZ) 방정식’의 해가 어떤 값을 가질지 그 확률분포를 정확히 알아낸 연구입니다. KPZ 방정식이란 두 물질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면에 무작위로 변화가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NASEM)는 10년 주기로 ‘행성과학 10년 계획’ 보고서를
발표
한다. 올해
발표
한 보고서에서 NASEM은 천왕성 탐사선의 우선순위를 가장 높은 등급으로 분류했다. 토성계를 방문했던 '카시니 하위헌스호'처럼 궤도선과 탐사정(프로브)으로 구성된 탐사선을 보내 수년간 천왕성을 관측하고, 그 대기로 직접 ... ...
KAIST 뇌인지과학과·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학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KAIST는 이날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설립도
발표
했다. 최근 수년간 획기적으로 발전한 기계학습·인공지능·빅데이터 등 기술을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제조·금융·의료·사회서비스(복지) 등 4개 분야에 특화된 연구를 수행한다는 목표다. KAIST는 지난달 ... ...
"오미크론 변이, 장기후유증 위험 낮지만 앓는 사람 델타보다 훨씬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나이, 백신 접종 등에 따라 20~50% 낮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랜싯’ 이달 18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오미크론 변이 또는 델타 변이에 감염된 영국인 9만여명을 대상으로 장기 후유증 발병 여부를 조사했다. 이들의 데이터는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영국 코로나19 추적 애플리케이션 ‘조이 ... ...
이전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