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상
추리
짐작
어림
추측
추론
예보
뉴스
"
예측
"(으)로 총 5,34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디스플레이 기술 변화가 가져온 풍경
2015.05.25
여지없이 깨질 확률이 높다. 기술이 산업과 만나서 만들어 내는 새로운 사회를 100%
예측
하는 건 어려운 일이니 말이다. 그 편린이라도 알 수 있는 사람을 세상 사람들은 ‘스티브 잡스와 같은 천재’라고 부른다. 그저 확실한 건, 다음 세상이 확실히 더 좋아지리란 사실이다. 미래형 두루마리 ... ...
유전체 편집, 인간에게 약인가 독인가
2015.05.25
공동 토론회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 9월부터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미래
예측
포털 기술영향 평가 게시판을 온라인 참여 창구로 활용해 누구나 대상 기술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미래부는 기술영향평가 결과를 올해 12월 발표할 예정이다. ... ...
바다에서 건져 올린 플랑크톤 왕국
2015.05.25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마치 보석상자를 열어 놓은 것 같다. 모양도 다양한 오색 생물들이 독특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이들은 모두 전 세계 바다에 살고 있는 플 ... 추정했다. 또한 이 도구가 무언가를 부수고 날카롭게 가루를 내는 데 쓰였을 것이라고
예측
했다.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진정한 인공지능은 언제쯤
2015.05.23
조건을 지정해 입력시킨 경우다. 완벽한 인공지능이란 결국 수많은 변수를 꼼꼼히
예측
한 로봇 개발자의 지능인 셈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가장 뛰어난 인공지능은 IBM이 만든 슈퍼컴퓨터 ‘왓슨(Watson)’이 꼽힌다. 왓슨은 수많은 정보를 모아 두고 그중에서 답을 골라내는 추론 능력이 뛰어나다. ... ...
남극 빙붕 소멸
예측
, 2020년이면 완전히 사라진다? ‘해수면 상승↑’ 라르센B 붕괴 왜?
동아닷컴
l
2015.05.20
B’ 빙붕이 2020년까지 완전히 붕괴할 것으로
예측
했다. 남극 빙붕 ‘라르센B’ 소멸
예측
이 나온 가운데, 최근 마찬가지로 남극의 대형 빙붕인 ‘라르센 C’도 두께가 얇아지고 있다는 영국남극탐사단(BAS) 조사결과가 나와 해수면 상승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다. 남극 빙붕 소멸
예측
. 사진 = 남극 빙붕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홍역 발생자의 수가 에볼라 이전인 12만7000명의 두 배에 가까운 22만7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
됐고, 이로 인한 추가 사망자 수도 2000~1만6000명에 이를 것으로 나왔다. 이는 에볼라로 인한 사망자수 1만1000여명과 맞먹는 수치다. 따라서 WHO를 비롯한 국제기구와 여유가 있는 나라들이 이들 세 나라의 ... ...
라돈가스 측정하고 땅속 미세전파 측정도…지진 예보 가능할까
2015.05.15
뛰어나지만 전국에 촘촘하게 깔린 지진계에서 수시로 지진파 정보를 얻고 있어 빠른
예측
이 가능하다”면서 “우리나라도 전국적으로 20km 간격 이하로 지진계를 촘촘히 설치한다면 정밀한 예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
2015.05.15
“땅은 가만히 있는 것 같지만 사실 움직이고 있습니다. 조금씩 내려가기도 하고 올라오기도 하지요. 인공위성으로 지구를 내려다보면 이런 땅의 움직임이 잘 나타납 ... 통해 지반의 온도를 재고 주변 지하수의 수위 변화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방법도 싱크홀
예측
기법 중 하나다. ... ...
꽈~악! 악력 클수록 더 건강하다
2015.05.14
넘는 경우도 있다. 렁 교수는 “근력 측정만으로 질병을 앓는 사람들의 사망 위험을
예측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라면서 “다만 악력만 집중적으로 키운다고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韓 연구진 “힉스 이후 최대 성과” 수확에 기여
2015.05.14
‘붕괴’라 한다. 물리학자들은 이론적으로 B중간자가 뮤온이라는 물질로 붕괴할 것으로
예측
해왔지만, 그 가능성이 10억 분의 4 정도로 매우 낮아 지금까지 실험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의 정확도로 확인했다. 이는 2013년 힉스의 존재를 확인한 ... ...
이전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