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12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 하나까지 반응하는 ‘궁극의 촉매’ 개발
2016.01.27
가격이 비싸 들어가는 백금의 양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관건이다. 이때 백금 입자의
크기
를 줄이면 표면적이 넓어져 동일한 양으로도 효과를 더 많이 낼 수 있다. 연구팀은 백금을 원자 단위로 쪼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현재 기술력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입자는 ... ...
인체 투과하는 ‘꿈의 전자파’ 변조 기술 개발
2016.01.26
있는 실험적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원자
크기
의 그래핀과 메타물질을 테라헤르츠파의 주파수 대역 조절을 구현한 만큼 적외선 및 가시광선 영역에서도 주파수 변조가 가능한 초박막 유연 소자를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꿈의 물질’ 그래핀, 상용화 길 열릴까
2016.01.26
국내 연구진이 자기조립 방식으로 그래핀 박막을 일반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웨이퍼
크기
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a).이 박막을 유연한 기판에 옮긴 모습(b). 여기에 패턴화된 접착 테이프로 ‘선’을 만들었다(c). - 신라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꿈의 물질’로 불리는 그래핀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 ...
제3차 세계대전 일어난다면 우주쓰레기 탓?
2016.01.26
2013년 독자 개발한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을 설치 중이다. 2020년까지 10㎝
크기
의 우주물체에 대한 정밀추적용 레이더시스템 및 대구경 전자광학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 2040년에는 1㎝급 우주잔해물 감시시스템 개발을 개발할 계획이다. 우주파편 제거 로봇 위성 개발도 추진된다. ... ...
그래핀에 구멍을 왜 뚫을까요?
2016.01.25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도 새로 밝혔다. 김상욱 교수는 “그래핀을 품질 저하 없이 나노
크기
로 오려낼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증명한 성과”라고 밝혔다. 이종원소(파란색)를 도핑하면 그래핀(회색) 벽에 세로로 홈이 생기고 이어 탄소나노튜브가 세로로 길게 잘라진다. 이는 종이에 구멍을 ... ...
“한국 인공위성의 성공 신화는 제 역사이기도 합니다”
2016.01.25
‘아리랑 3A호’도 쏘아 올렸다. ‘아리랑 3A호’는 지구 상공 528㎞에서 지표면의 55㎝
크기
의 물체까지 식별이 가능하고 어두운 밤에도 적외선 센서로 열을 감지해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서브미터급 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 ‘아리랑 3A호’를 제작 중인 연구원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
태양전지도 ‘gold’ 시대
2016.01.25
들어가는 최적의 입자
크기
와 전해질을 연구해 금 원자 18개로 구성된 Au18(SR)14가 최적의
크기
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학계에서는 ‘아이오딘(요오드)계 전해질’이 부식성이 강해 금 나노클러스터 태양전지에 사용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연구팀의 실험 결과 태양전지의 화학적 ... ...
9번째 태양계 행성, 진짜 있을까
2016.01.21
태양계 가까이선 슈퍼-지구 발견한 적 없어 그동안 태양계 가까이에서 행성 X와 비슷한
크기
의 ‘슈퍼-지구(Super-Earth)’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도 넘어야할 과제로 꼽힌다. 슈퍼-지구는 질량이 지구보다 크고 해왕성보다는 작은 행성을 말한다. 스토판 연구원은 “NASA는 케플러 ... ...
[조창현의 신차명차 시승기]중형세단의 교과서 혼다 ‘뉴 어코드’
동아닷컴
l
2016.01.21
중형차 시장이 뜨겁게 타오르고 있다. 국산차 업체들이 잇달아 신차를 내놓으며 시장의
크기
를 키우고, 여기에 수입차 업체들까지 중형차를 앞 다퉈 출시하면서 맞불을 놓는 형국이다. 국제 유가 하락도 서민들의 중형차 진입장벽을 낮추고 있다. 많은 중형차 중에서도 전통의 강자 혼다자동차가 ... ...
똑같은 ‘슈퍼 엘니뇨’라는데, 올해는 왜 더 추울까
2016.01.20
지구환경과학부 대기과학전공 교수는 “북극에서 내려오는 찬 공기가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슈퍼 엘니뇨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기 어렵다”며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기상변동 폭도 더욱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