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다이빙 금메달 따고 싶다면 지원하세요!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선수의 몸통과 팔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방정식을 만든 뒤, 시뮬레이션했습니다. 그 결과 왼쪽과 오른쪽 손을 각각 위·아래로 뻗은 뒤, 다시 순서를 바꿔 아래·위로 뻗으면 몸의 회전율이 커졌습니다. 1.8초 안에 공중제비를 한 바퀴 반 돌 수 있고, 몸 비틀기 동작은 5번 할 수 있었습니다.연구팀은 이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2012년 미국 수학자 조지 하트는 앵무조개를 잘라 그 단면과 황금나선를 비교했어요. 그 결과 앵무조개 나선의 중심에서 그은 직선과 나선이 만나는 점의 길이는 1cm와 3cm, 9.5cm였고, 황금나선은 1cm와 6.8cm로, 완전히 다른 나선이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황금비의 대명사는 파르테논 ... ...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광물과 미생물 사이의 관계와 미생물이 지진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조사했답니다. 결과는 아직 분석 중이에요.낮에 활동하는 팀과 밤에 활동하는 팀으로 나뉘는데, 저는 밤에 활동하는 팀이었어요. 저녁 10시쯤부터 하루 일과가 시작되죠. 보통 3시간에 한 번씩 해저지각이 시추공에서 채취되어 ... ...
- [가상 인터뷰] 오염된 하천에서도 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은 대서양킬리피시 384마리의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대서양킬리피시는 다른 동물보다 특정 유전자의 다양성이 훨씬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지요. 이는 같은 종에서 개체마다 다양한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해요.즉, 같은 대서양킬리피시라도 물고기마다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발자국과 매우 비슷했어요. 하지만 발자국과는 조금 달랐지요. 자세히 살펴본 결과, 날카로운 발톱으로 바닥을 긁어서 만들어진 구덩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답니다.그렇다면 아크로칸토사우루스는 왜 땅을 긁었을까요? 첫 번째 가설은 알을 보관하는 둥지를 만들기 위해 땅을 팠다는 거예요. 대형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SSG와의 첫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2015년 4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수성 탐사선 ‘메신저’가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성의 극지방에서 약 30cm 두께의 얼음층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극지방이 햇빛을 못 받은 덕분에 물이 증발하지 않고 얼음층으로 고스란히 남은 거랍니다.행성들은 대부분 지구처럼 반시계 방향으로 ... ...
- [수학뉴스] 크거나 작거나 중간은 없는 동물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최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연구팀은 일부 동물의 장식 크기에 중간은 드물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장식이 크거나 작거나 둘 중 하 ... 수명을 늘리려고 한 것입니다. 애매하게 둘 다 가지려고 한 동물은 거의 없었습니다.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11월 30일자에 실렸습니다 ... ...
- 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수학동아 l2017년 01호
- 0년 전 길버트가 처음으로 마찰전기를 발견한 이후로, 수많은 학자들이 발명하고 연구한 결과 한반도에도 전기가 들어오게 됐지요. 한반도에 전기가 들어온 뒤 전등이 빛을 발했고, 전차가 다니기 시작했으며 하늘에 전선도 여기저기 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130년이 지난 지금은 다시 전선이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높일 수 있는 기술입니다. 1m 거리에서 90%, 2m 거리에서도 40%의 충전 효율을 낼 수 있다는 결과에 많은 연구자들이 주목했습니다.그런데 2015년 임춘택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팀이 자기유도 방식으로 수 m 떨어진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했습니다. 기유도 방식 중 ... ...
- [소프트웨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 세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1학년 2반에서는 네 명이 한 조를 맺어 ‘우리 생활과 안전’을 주제로 만든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지진이 났을 때 대처하는 방법이나 자연 재해에 관한 지식을 OX퀴즈 또는 장애물 피하기 게임 등으로 만들어 발표했다.SW 개발자가 되고 싶다는 이재현 군은 “학교에서 배운 ... ...
이전4894904914924934944954964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