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주에서 발견된 별에서 온 그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발견한 앨런 힐스 운석은 물이 있는 곳에서만 발견되는 탄산염 입자가 들어 있어 큰 이슈가 되었어요. 과학자들은 이 운석이 있었던 화성에도 오래 전에는 물이 있었거나, 아직까지 물이 남아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지요.정말 신기하구나! 나도 운석을 주울 수 있을까?아마 어려울 거예요. 우리는 ...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의견을 내놨다. 튜링 테스트가 처음 나온 지 64년이 지났고, 당시의 컴퓨터 수준은 지금과 큰 차이가 있는 만큼 오래된 기준을 적용한 유진을 진정한 인공지능으로 부를 수 없다는 것이다.미국 뉴욕대 인지과학자 게리 마스쿠스는 “현재의 인공지능 수준으로 봤을 때 30% 이상이라는 기준은 상당히 ... ...
-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7호
- ➌ ➋번에서 만든 구멍 난 원환면보다 크기가 작은 잘린 원환면을 2개 만든다. 그리고 큰 원환면의 잘린 부분에 새로 만든 원환면을 각각 연결한다. 이때 두 개의 작은 원환면은 서로 엇갈리게 건다.➍ 원환면의 잘린 부분에 새로운 원환면을 붙이는 과정을 무한히 반복한다. 눈치 빠른 독자들은 ... ...
-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문제 푸는 것을 도와주고 수학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루트가 수학 교사로 성장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 박사는 루트에게 무한한 애정을 주고, 루트는 그런 박사에게 아버지의 정을 느낀다.수학 이외에 박사와 루트를 매개해주는 것은 야구다. 두 사람 모두 한신 타이거스의 열혈팬인데, 물론 박사의 ... ...
- 양자를 훔친 악동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과학자도 드물다. 아내는 폐결핵으로 일찌감치 세상을 떠났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큰 아들 칼은 베르덩 전투에서 전사했다. 두 딸이 있었는데, 모두 아기를 낳다가 죽었다. 마지막 남은 아들인 에르빈은 2차 세계대전 중에 반나치운동을 하다가 체포돼 사형선고를 받았다. 플랑크는 히틀러에게 ...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어떤 파도가 가장 위험할까. 가장 ‘위험한’ 파도는 파가 갖는 에너지가 큰 파도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먼 바다에서 발생해 육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파도가 가장 위험하다. 에너지가 적어 파장이나 주기가 짧은 경우 먼 바다에서 생겨난 파는 멀리 진행하지 못하고 소멸한다. 그러나 충분한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전자에 대해 상대성이론을 적용한 양자역학 방정식을 제시했다. 1930년대 물리학의 가장 큰 과제는 디랙의 방정식을 기반으로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가지고 빛을 현대적으로 이해하려는 것이었다. 하이젠베르크, 파울리 등 양자역학의 건설자들은 일제히 이 주제에 매달렸다. 제2차 세계대전이 ... ...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2009년, 날개 없는 선풍기를 출시했다.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획기적인 아이디어로 큰 화제가 됐고, 날개 없는 선풍기는 전세계로 팔려나갔다. 그러나 그는 만족할 수 없었다.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끝없이 노력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소음이었다. 엔지니어들은 날개 없는 선풍기에서 공기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2] 김영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특징이 있다. 꽤 많은 과학책을 내고 있는데도 인문·과학 팀에 이공계 전공자가 없다. 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기자의 예상과 달리, 전혀 다른 답변이 돌아왔다. 김윤경 편집부장은 “과학책을 읽는 대중은 과학 전공자가 아니다. 편집자가 이해할 수 없는 책이라면 독자도 이해하지 못한다”고 ... ...
- 가면을 쓰는 비용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기대에 맞춰 살아가는 정도도 크며, 공적자아와 사적자아 사이의 간극 또한 비교적 큰 편이다.사람 사이에서 살아가다보면 “학생이라면 당연히 공부를 열심히 해야지”라거나 “부하 직원이라면 상사보다 일찍 와야지”처럼 습관적으로 강요 받는 역할이 있다.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한다는 편견이 ... ...
이전4894904914924934944954964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