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뉴스
"
모두
"(으)로 총 11,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형로켓의 아이콘 '일렉트론' 2021년 달 궤도선 쏘고 2023년 금성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스페이스닷컴은 로켓랩이 미 버지니아주 발사장(LC2)에서 최근 지상 연소시험을
모두
마치고 첫 발사를 앞두고 있다고 20일 보도했다. 이 발사장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월롭스 비행센터 인근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렉트론은 길이 17m로 총 225kg을 지구저궤도에 띄울 수 있도록 설계됐다. ... ...
[코로나19 연구속보] 하수도는 코로나 확진자 증가 일주일 전부터 안다
2020.09.21
6시간 안에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물론 연구진은 하수 침전물과 역학 데이터
모두
변수가 많기 때문에 하수 속의 코로나 바이러스 RNA의 농도가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상관관계가 확실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코로나 검사와 결과 통보가 지연되는 지역에서는 하수 ... ...
코로나19 백신 콜드체인을 확보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주의를 촉구했다. 문제는 백신이 적절한 효과를 내는 온도는 백신의 종류마다
모두
다르다는 사실이다. WHO는 백신을 온도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기준으로 A~F까지 6개 그룹으로 나누고 있다. 먹는 소아마비 백신은 온도 변화에 가장 약한 A 그룹에 속하고 인플루엔자도 비교적 온도 내성이 약한 B ... ...
개미사회에도 감염병에 맞선 치열한 투쟁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병원체에 감염된 개미들은
모두
죽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를 한 나머지 개미들은
모두
살아 남았다. 동물 사회가 질병의 확산을 줄이기 위해 조직운영 방식을 능동적이고 민첩하게 바꾼다는 사실을 확인한 최초의 과학적 연구였다. 개미 사회에서는 병원체에 감염돼 아픈 동료를 빠르게 ... ...
국내서도 나온 재감염 의심사례...해외엔 '항체 일정 기간만 지속' 연구 결과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9.20
230명의 코로나19 항체 형성률을 4월 초와 6월 초에 각각 비교한 결과 항체가 발견된 19명
모두
두 달 뒤에는 항체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항체가 검출된 19명 가운데 42%인 8명만이 두 달 뒤에도 항체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58%는 음성으로 전환됐다. 연구팀은 비록 한 곳의 ... ...
신종 감염병, 30분 만에 진단하는 새 유전자 기반 진단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0
사용해 비교적 정확도가 높으면서도 진단이 빠른 게 특징이다. 세균과 박테리아
모두
에 사용할 수 있고, 새로운 감염병이 나타나도 쉽게 새 진단법을 개발할 수 있어 미래 감염병 대응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이정욱·정규열 화학공학과 교수와 우창하, 장성호 연구원팀이 별도의 ... ...
[인간 행동의 진화]밤에 야식이 당기면 먹어야 끝난다
2020.09.20
킬로를 날아 번식장소로 이동하는 철새, 몇 년에 걸쳐 거대한 댐을 쌓는 비버의 행동도
모두
갈망행동이다. 목적지에 도착해야 철새는 비로소 날개깃을 내리고, 댐을 완성해야 비버는 비로소 피로한 몸을 누인다 갈망의 지속 사실 갈망행동은 완료행동과 함께 종결되므로, 대부분 금세 끝난다. ... ...
실험실에서 탄생한 ‘인공모유’ 분유시장 지각변동 일으킬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19
모유를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고 있다. 한계와 논란 두 스타트업
모두
제품의 상용화가 목표다. 그러나 세포 배양 배지와 바이오 반응기 등 시스템을 갖추는 데 비용이 투입되는 만큼 상용화된 조제 분유 가격만큼 값싸게 공급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이와 관련 터틀트리는 초기 ... ...
[잠깐과학] 로제타석에서 고대 이집트 문자 해독의 실마리를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9.19
실마리를 찾았다. 알고보니 성각 문자는 ‘표의 문자’와 ‘표음 문자’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어서 해독이 어려웠던 것이다. 들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마침내 해독에 성공한 샹폴리옹은 너무 흥분한 나머지 형에게 발견 사실을 알리고 쓰러졌다. 해독 내용은 1822년 9월 27일 논문으로 발표됐다. ... ...
미래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반식물반'?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프로티팜의 수직농장 모습이다. 프로티팜의 톰 모르만 대표는 곤충식이 환경과 영양을
모두
고려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프로티팜 제공 하지만 그에 이르는 길은 각기 달랐다. 시너 대표는 단백질 공급원을 식물로 완전히 대체할 수 있고 그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물을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