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뉴스
"
목표
"(으)로 총 6,347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를 보면 암이 보인다! 암 조기검진 ‘액체생검’ 기술은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혈액 안에 돌아다니는 아주 희박한 암 유전자와 단백질을 검출해 암을 조기진단하는 기술 경쟁이 뜨겁다. - 존스홉킨스 의대 제공 암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기 검진하기 위한 ‘액 ... 1기 이전의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검진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게
목표
”라고 말했다 ... ...
눈 덮인 도로, 과학기술로 해결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얼음이 잘 녹는 도로 포장재를 개발하고 있다. 탄소섬유를 이용해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
다. 현재는 경사가 심한 언덕이나 곡률이 큰 도로는 눈이나 얼음에 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스팔트에 열선(구리)을 매립해 눈을 녹인다. 문제는 차량이 계속 지나가면서 아스팔트에 힘이 ... ...
구글은 어떻게 '인공지능'으로 행성을 발견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1.31
샬루 엔지니어는 “AI를 이용한 외계행성 탐색은 성공적이지만 아직 한계가 있다”며 “
목표
항성의 뒤에 다른 항성계가 빛을 더해서 측정 데이터를 왜곡하는 경우는 아직 사람이 걸러내야 하는데, 케플러 망원경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항성 위치 정보를 얻어 이 문제를 해결할 예정”이라고 ... ...
AI로 외계행성 탐색, 구글 시도는 이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8.01.31
샬루 엔지니어는 “AI를 이용한 외계행성 탐색은 성공적이지만 아직 한계가 있다”며 “
목표
항성의 뒤에 다른 항성계가 빛을 더해서 측정 데이터를 왜곡하는 경우는 아직 사람이 걸러내야 하는데, 케플러 망원경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항성 위치 정보를 얻어 이 문제를 해결할 예정”이라고 ... ...
현실과 가상 결합한 '공존현실' 실현된 미래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30
만드는 기술은 세계적으로 유일하며, 현재 5분 걸리는 생성 시간을 1분까지 줄이는 것이
목표
”라고 말했다. 공존현실을 더욱 생생하게 만드는 세계 최초의 지도 작성 기술도 발표됐다. 도락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3차원 공간을 실제 그대로 스캔해 가상공간에 3D 모델로 생성하는 기술을 ... ...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인공지능과 결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30
29일자(현지 시간)에 발표했다. 크리스퍼는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부위 등
목표
유전자를 스스로 찾아 잘라서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유전자 가위는 절단이 잘 일어나는 최적의 DNA 부위를 얼마나 잘 찾느냐에 따라 효율이 크게 달라진다. 기존에는 효율이 높은 부위를 찾기 위해 크리스퍼를 ... ...
테슬라 상장 1호 카페24 “아프리카에서 100억 쇼핑몰 나올 때까지”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1.29
제공 “아프리카에서도 100억원 이상 매출내는 쇼핑몰을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
입니다” 테슬라 상장 1호로 주목을 받고 있는 카페24 이재석 대표는 24일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아프리카에서 100억원 매출을 내는 쇼핑몰을 만든다는 ... ...
하늘 날던 드론이 바닷속 잠수함으로 변신… 미리 엿본 드론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8.01.27
및 네트워크 기술이 고도화되면 향후 IoT와 AI 등을 활용한 지능형 해양장비 개발을
목표
로 하고 있다. ●해파리 감시-바닷물 채집… 해양연구 드론이 맡는다 드론의 활약은 바다 위에서도 이어지고 있다.앞으로 점차 드론의 역할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진은 미래 해양 ... ...
지구교신 없이 길 찾는 우주선… 深우주 탐사 새 돌파구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1.26
기록될 것”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올해 중으로 오차범위를 1km 이하로 낮춘다는
목표
다. 중국도 2016년 11월 X선 내비게이션 실험 위성인 ‘XPNAV-1’을 쏘아 올린 바 있다. 이 위성은 지구에서 6500광년 떨어진 중성자별 ‘크랩’에서 오는 X선을 관측하는 기초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 ...
NASA와 아마존이 함께 일하는 이유는 ‘드론’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NASA는 올해부터 유인 항공기와의 상호작용, 무인항공기 간의 인터넷 연결 가능 등을
목표
로 하는 3단계 수준 진입을 위한 기술 개발에 돌입했다. 신 국장보는 UTM 기술이 완성되면 무인항공기가 도심 이동수단의 중심 역할을 할 것이라 내다봤다. 그는 “수십 년 동안 많은 기업 및 공학자들이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