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그리고 죽음에 대한 공포였다. 여기에 편승한다면 식물이 지구 전체에 퍼지는 것은 시간
문제
였다.예를 들어 아름답고 향기로운 식물은 인간이 특별히 신들에게 바치는 공양이었다. 고대 이집트의 가장 중요한 수입품목이 레바논의 향나무였다. 신전에서 태우기 위해 엄청난 양의 향나무를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미세먼지를 중국에서 넘어온 것이라고 많이 생각한다. 물론 중국산 미세먼지도 많다.
문제
는 정확히 얼마나 많으냐는 거다. 뒤집어 생각하면 올 겨울 미세먼지에 우리나라 책임은 과연 없을까.중국은 화력발전소나 가정용 보일러에서 석탄을 주로 쓰는데, 여기서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한다. 중국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상호작용하는 이종네트워크에서는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더욱 근센서본적인
문제
도 제기된다. 정보와 상호작용만을 기준으로 삼으면 인간과 사물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기 때문이다. 영화 ‘코드명J’에서 주인공 키아누 리브스의 직업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뇌에 저장해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 ... ...
침으로는 ‘슴부심’을 채울 수 없어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임상실험이 쌓여야 비로소 확신을 갖고 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지 않을까요?논문에도
문제
가 있습니다. 전문 연구자가 아닌 제가 보기에도 허술한 구석이 있는데요, 일단 6cm 길이의 ‘매선’이라는 것을 침을 이용해 대흉근 부위에 있는 혈자리에 매입한다고 합니다. 매선이 뭔가 해서 찾아보니 몸 ... ...
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처지에 있습니다. 원전 수가 적은 나라는 임시저장수조에 보관하면 되니까 그리 시급한
문제
는 아니지요.”김 이사장은 우리나라는 현재 여건상 중간저장 정책을 확실히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외교안보상 재처리 여부를 결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 더욱 복잡하며 독일은 원전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올해 살처분 된 400만 마리를 포함해 지금까지 닭·오리 2900만 마리를 땅에 묻었다.
문제
는 감염되지도 않았는데 죽어가는 가축의 비중이 너무 높다는 점이다. 지난 2003년부터 살처분이 이뤄진 농장의 수는 모두 2793곳인데, 이 중 AI가 실제 발생한 곳은 129곳에 불과하다. 95% 이상이 예방적 살처분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모든 교과서의 내용을 바꿀 수 없다.”고 지적했다.교육청 담당자는 “심의과정에서
문제
점이 발견되면 그 내용을 공유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상황을 파악해 보겠다”고 말했다.한편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숭실대 수학과 황선욱 교수는 “앵무조개와 같이 자연에서 ... ...
외계인도 잘 생겨야 하는 더러운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외계 바이러스에 인간이, 반대로 지구의 바이러스에 외계인이 감염된다는 설정도
문제
가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숙주의 유전물질을 이용해야 합니다. 인간과 외계인의 유전물질이 같을 가능성은 대단히 낮습니다. 지구에서도 바이러스가 종간 벽을 ... ...
간질과 ‘코 다 페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리아 부모 사이에 갈등이 커지면서 리아의 상태도 점점 나빠졌어요. 병원에서는 법원에
문제
제기해서 리아를 부모로부터 강제로 뺏어 치료하기도 했지요. 하지만 리아는 합병증을 앓다가 네 살에 식물인간이 되고 말아요. 의사들은 식물인간이 된 리아가 길어야 5년을 넘기지 못할 거라고 ... ...
작심삼일 탈출하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자신의 점수를 과대평가할수록, 그리고 후반에서는 자신의 점수를 과소평가할수록
문제
를 더 열심히 풀었다.마무리 지을 때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하자자신의 점수를 예측한 것처럼 목표 달성 정도에 대한 평가를 ‘진척도에 대한 주관적 지각’이라고 한다. 왜 이렇게 진척도 지각에 따라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