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종류는 40여개에 이르지만 과학자들은 100여 개의 신경전달물질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과학자들은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추상적 사고나 논리적 추론, 복잡한 감정과 같은 인간의 내면세계를 설명하려고 노력한다. 그 중에서 2000년에 노벨 의학상을 수상한 에릭 리처드 캔들은 기억의 비밀을 풀어 ... ...
[핫이슈] 뛰는 사이코패스 위에 나는 프로파일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대표적인 프로파일러 양성소인 경기대 범죄심리학과의 이수정 교수는 당시 현장 사진을
보고
“방화를 저지르는 데 능숙하지 않고 절도나 가택 침입 전과가 있으며, 지능 수준이 그다지 높지 않은 이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왜였을까.우선 굳이 이불에 불을 붙이려 한 점이 눈길을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만들자는 생각을 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각도를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마이크로 거울을
보고
‘인공 눈’을 상상했다. 사람의 눈처럼 시야를 돌려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다니는데다가 확대까지 가능한 인공 눈을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그 뒤 러시아와 우주선을 관측하기 위한 우주 실험을 ... ...
봄철 생선의 대표 도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하나만 있어 두 마리가 한데 모여야만 온전한 형태로 헤엄칠 수 있다는 비목. 가자미류를
보고
오해해 탄생한 전설상의 물고기다.넙치의 일생알에서 막 깨어난 가자미류 새끼는 보통 물고기와 같은 모습이지만, 자라면서 몸이 납작해지고 눈이 한쪽으로 이동한다. 넙치의 경우는 두 눈이 몸의 ... ...
[고생물학]뜨거운 과거 드러낸 세계 최대 구렁이 화석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연구팀은 이번 발견이 과거 지구의 온난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구렁이는 체내에서 열을 만들지 못하는 변온동물로 주변 환경에서 열을 얻는다.헤드 박사는 “몸집이 컸다는 것은 그만큼 주변 온도가 높았다는 의미”라며 “당시 지구의 평균 기온은 지금보다 10℃도 ... ...
사상 최초의 우주충돌사고 긴급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위해 우주에 쏴 올린 위성만 80대가 넘는다. 이 위성들에 5km 이내로 접근하는 물체에 관한
보고
서만 매주 400건 이상이다.여기에 레이더와 광학장치를 이용해 인공위성의 궤도를 추적하는 데는 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충돌을 예측하고 위성을 피신시키려 했다가 도리어 또 다른 충돌사고를 부를 수 ... ...
소행성이 혜성으로 변신한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특징인 뿌연 코마가 생긴 것이다. 최 박사는 이 사실을 바로 국제 소행성센터(MPC)에
보고
했고 지난해 4월 ‘태평양 천문학회지’(PASP)에 논문으로 발표했다.에쉐클루스에는 소행성 번호(60558)에 주기 혜성을 뜻하는 기호(P)가 붙여졌다. ‘60558 174P 에쉐클루스’라고. 최 박사는 “에쉐클루스는 ... ...
[화학]분자의 모양과 극성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친핵 성 첨가반응의 이유를 설명합니다.2) 반응에서 정촉매가 하는 역할을 생각해
보고
염소 라디칼의 역할이 촉매의 역할과 어떤 면에서 유사하거나 다른지 생각해봅니다.3) 디클로로메탄(ClCH2Cl)의 분자구조가 입체 구조라면 이성질체가 존재하지 않고, 평면구조라면 시스, 트랜스 이성질체가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바로 자면 소화가 안 될 테니 한 시간 정도는 뭘 해야 할 텐데…. TV를 다시 켜기도 그렇고
보고
서를 들여다볼 마음도 생기지 않는다. 그러고 보니 오늘 라면을 끓여 먹은 과정을 화학의 관점에서 써 보면 어떨까. 화학을 싫어하는 동생한테 도움이 될 것 같다. 방으로 들어가 컴퓨터의 전원을 켠다 ... ...
나노노끈을 내 맘대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은 나노 길이의 고분자 섬유를 액체에 담갔다 빼내는 실험을 했어요. 머리를 감고 나면 젖은 머리카락이 서로 달 ... 이번 연구가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 정확히 약을 전달하는 기술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보이지 않는 작은 세상 속 과학이 놀랍습니다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