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레이저 장치로 암 조기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연구로 개발됐다는 소식이다. 이 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보자. 먼저 환자의 체내에
빛
을 받으면 활성산소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정맥주입, 암세포를 모아둔다. 그리고는 환자에 파장 6백64㎚(나노미터), 출력 5백MW의 레이저광을 쪼인다. 그 결과 암 환부에서 활성산소가 발생하여 그것이 암세포를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질병으로 망막의 수용기가 손상되어 있다. 인공망막이 필요한 것이다. 인공망막은
빛
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전자소자이다. 인공망막을 눈의 망막 앞에 이식하여 신경절세포를 전기적으로 직접 자극하면 시각이 어느 정도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칩으로 인공망막이 개발되었고 이것을 눈에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피아노 크기이며 1억달러를 호가하는 WFPC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나사는
빛
에 의한 신호로 조여들게 되어 있고, 과도하게 조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있다. 무스그레이브와 호프만은 A래치를 풀어서 구형 카메라를 빼내고 보다 발전된 신형 카메라를 장착하도록 되어 잇다. ... ...
근시교정 엑시머레이저 수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위해 상대적으로 각막을 덜 깎게 되는데, 저녁 때 동공이 커지면 수술이 안된 부위로
빛
이 들어가 번져 보인다든지 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이밖에 수술후 6개월간 눈에 넣는 안약에 대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작용들은 모두 치료가 가능하므로 큰 문제를 없다고 본다"고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하기 전까지는 고리타분한 학술지인 '대기과학지'에 실려 있는 로렌츠의 위대한 논문은
빛
을 보지 못했다. 스메일의 편자1960년대 들어 몇몇 과학자들은 '카오스 성'을 쌓는데 기초가 될 만한 벽돌 몇개를 마련했다. 그중 대표적인 사람이 스티븐 스메일이었다. 그에게는 푸앵카레의 후예란 표현이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먼저 가을의 대표 별자리인 페가수스를 찾은 다음 남서쪽의 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
나고 있는 토성을 찾아라. 그런 다음 이들을 잇는 선의 중앙쯤을 잘 살펴보면 3등급의 별 두개가 선을 따라 있는데 이중 페가수스 쪽의 것이 물병자리 알파별이다. 우선 이 별을 망원경의 파인더 시야에 넣은 다음 ... ...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스텔스도 공격헬기에서 중요하게 됐다. 한가지 뚜렷한 경향은 넓은 각도에 걸쳐 태양
빛
을 반사하던 조종실의 이중 유리가 조그만 평탄형 유리창으로 대치된 것이다. 레이더 흡수 물질 부착, 특수 바람막이 유리의 사용, 레이더 반사를 줄이는 독특한 형태의 설계 등도 최근 시도되고 있다. RAH-코만치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의한 촬영은 한계가 있어 보통 초점거리가 3백㎜이상에서는 어렵다. 필름 상의 한 곳에 별
빛
이 머물게 하여 장시간 감광시켜 어두운 곳까지 나오게 하려면 일주 운동으로 움직이는 별을 추적 촬영하는, 즉 가이드 촬영방법을 써야 한다.가이드란 적당한 밝기의 별을 선택하여 그 별을 망원경의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조심스럽게 밝혔다.이외에도 국내에서는
빛
의 파장을 분석해 자연광에 가까운 혼돈
빛
을 발생하는 카오스 스탠드가 제품화돼 판매되고 있으나 그 원리와 효능은 자세히 밝혀지고 있지 않다.'응용의 천재' '상품화의 귀재'라 불리는 일본에서 카오스를 이론의 영역에 머물게 할 리가 없다. 80년대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우주공간뿐이다"고 말하면서 "태양보다 4배 이상 무거운 별은 수소의 핵융합반응으로
빛
을 내다가 수소가 헬륨으로 변하고 다시 탄소로 변한다. 점점 무거운 물질로 변하다가 니켈이나 철의 단계에 이르면 더이상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중력의 응축력을 견딜 수 없어 중심부가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