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력
템포
스피드
박자
리듬
빠르기
진전속도
d라이브러리
"
속도
"(으)로 총 7,180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소리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시대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구현될 수 있는 꿈의 기술”이라고 언급했다.음성언어연구실에서는 실시간으로 음성의
속도
를 변화시켜주는 장치를 비롯한 10가지의 특허를 출원 또는 등록했다. 오교수는 이런 음성언어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지난해 8월 벤처기업인 보이스피아(www.voicepia.co.kr)를 창업하기도 했다. 현재 연구실에는 ... ...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꼼꼼히 따져 보고 구입할 것을 권한다. 아울러 디지털 카메라와 PC의 연결 방식도 전송
속도
가 빠른 USB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요즘은 카메라와 PC를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더라도 메모리를 직접 PC에 연결해 데이터를 불러들일 수 있는 어댑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뒤를 이어 망치를 든 아들이, 그 뒤에는 김부자가 쫓아갔다. 하지만 그들의 뜀박질
속도
가 같아서 아무리 달려도 서로 잡히지가 않았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계속 쫓고 쫓기고 있다나.북두칠성은 자루달린 국자모양을 하고 있는데, 국자를 이루는 네 별은 약간 비뚤어져 있다. 이것이 박목수가 지은 ... ...
쇼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들어간다. 하물며 카트에는 사려고 집어넣은 물건들이 많이 있음에랴. 그러다 보면 걷는
속도
도 조금씩 느려지고 마침 옆에 다시 눈에 띄는 물건이 있으면 카트를 멈추고 그 물건을 집어들게 되는 것은 당연지사다.일단 물건을 손에 들게 되면 그것을 살 확률은 커질 수밖에 없다. 그 물건을 카트에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달리 기체로 된 태양은 위도에 따라 자전
속도
가 다르다. 태양의 극지방에서는 회전
속도
가 느려 35일에 한바퀴를 돌며, 적도지방에서는 25일이 걸린다. 따라서 태양 표면에서 함께 자전하는 흑점은 태양 뒤로 사라진 뒤 약 2주일 가량 지나면 반대편에서 되돌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흑점은 생겨났다 ... ...
이毛저毛 털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성장기 털이 많고 성장기도 다른 털에 비해 길기 때문에 다른 털보다 길이가 길고 자라는
속도
도 빠르다. 반면에 눈썹의 경우 짧은 성장기를 거쳐 휴지기를 맞는데 40-50%의 털이 6개월-1년 정도로 비교적 긴 휴지기에 머물기 때문에 길이가 짧고 잘 빠지지 않는다.단면이 타원형일수록 곱슬 정도 ... ...
왜 양자이론이 암호연구에 이용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개 중 하나의 암호키를 찾아내야 한다. 만약 기존컴퓨터로 1초에 1백만 키(key)를 훑어보는
속도
로 조사한다면 올바른 키를 찾아내는데 무려 1천년이나 걸린다. 그러나 그루버 알고리듬을 사용하면 단 4분만에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양자컴퓨터의 우월성이 암호학에서 나타난 것이다.이처럼 양자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유성우와 12월의 쌍둥이자리 유성우 밖에 없다.용자리 이오타 유성우의 별똥별은
속도
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3일 밤 10시부터 자정 사이에 복사점의 고도가 낮을 때는 북두칠성 아래에서 남쪽 오리온자리쪽으로 별똥별이 가끔 천천히 길게 흘러가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드물지만 이런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일어난다.④ 고래개자리로 넘어간 열기는 고래개자리의 넓은 공간으로 들어가면서 이동
속도
가 줄어들게 된다. 이때 여러 고래에서 넘어온 열기가 섞이고, 마지막으로 남은 열로 구들장을 데운다.⑤ 내굴길을 지난 열기가 굴뚝개자리에서 머물다가 굴뚝으로 빠져나간다. 굴뚝개자리는 외부에서 ... ...
2. 멋진 신세계 앞당긴 신기술 삼총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디스켓으로 옮길 필요없이 무선으로 교류가 가능하다.적외선(IrDA)이나 LAN에 비해 전송
속도
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사용 주파수가 2.4GHz대로 따로 국가의 전파관리를 따로 받지 않아도 되는 면허가 불필요한 대역이라는 점, 하드웨어 구성이 간단하다는 점, 휴대전화 업체와 PC, PDA 업체 등의 폭넓은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