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실이 우선이다! 의견·주장은 거들 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더 많이 담기 위해서는 취재를 더 많이 해야 합니다. 2월호에는 여러분들이 보내준
약
20편이 넘는 기사 중 2편을 선정해 싣습니다. 게재되지 않은 기사는 순차적으로 홈페이지에 올릴 예정입니다. Do! 과학동아 독자 여러분들은 ‘진짜 기자’들처럼 취재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취재하고 싶은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바이러스들을 직접 보면서 그린 그림을 가지고 만들었거든요. 바이러스를
약
100만 배 정도 확대한 모습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우와~, 이 바이러스들이 진짜와 똑같다고요? 그런데 왜 모두 투명한가요?색은 칠하지 않은 건가요?아니에요~. 사람들은 대부분 바이러스가 색을 가지고 있을 거라고 ... ...
살찌는 원인은 ‘미식가’ 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비만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유전자 조사와 지방 맛 판별실험을 했다.유전자 조사 결과
약
20%는 지방 맛을 느끼는 CD36 단백질을 만들지 못했다. 일반인보다 월등히 높은 비율이다. 지방 맛을 보는 실험 결과 역시 유전자 조사 결과와 같았다. ‘맛’을 느끼는 유전자와 그에 따른 식습관이 모두 비만에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받았다. 2013년 치료백신으로는 처음으로 유럽에 시판될 것으로 알려졌다. 강창율 서울대
약
학대학 교수는 “임상 중인 유방암치료백신들이 안전성과 효과 면에서 좋은 결과를 내고 있다”고 전했다. 강 교수가 HER2/neu 단백질을 이용해 만든 유방암치료 DNA백신도 현재 임상 1단계에 있다. 강 교수는 ... ...
전열기와 워렌 버핏의 공통점은?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누진제는 에너지를 아끼고, 사회적 형평성을 회복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에너지 절
약
과 사회적 형평성처럼 전혀 수학과 상관없어 보이는 사회 원리에도 수학이 쓰이고 있다 ... ...
인터넷 무게는 소금 알갱이 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러셀자이츠의 결과는 달랐어요. 그는 이메일 하나를 저장하는데
약
80억 개의 전자가 쓰이고, 인터넷 데이터가 500만 테라바이트(1TB=${2}^{40}$B)라고 가정해 계산했어요. 그 결과 딸기 하나의 무게인 50g 정도가 ... ...
미션! 공룡의 흔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공룡의 흔적?흔적1 알의 모양공룡 알껍데기의 두께는 보통 2㎜로 달걀 껍데기 두께의
약
10배다. 알의 크기는 종류마다 다르지만 공룡의 몸집에 비례하지 않는다. 공룡 알의 모양을 보면 육식공룡의 알인지 초식공룡의 알인지 짐작할 수 있다. 발자국 속에 엄청난 증거가!장예원 기자 : 알껍데기 ... ...
상금 100만 달러를 잡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100만 달러(
약
11억 4850만 원)가 걸린 ‘수학 문제’에 도전하는 60여 명의 국내외 저명한 수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포스텍 포항수학연구소는 지난 1월 6일부터 14일까지 ‘2012 국제 겨울학교’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는 물론, 미국 스탠퍼드대, 영국 캠브리지대 등 17개국에서 각국을 ... ...
수학촌의 단짝친구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또다른 예로는 신문지가 있다.신문지 1장의 두께는 매우 얇아서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만
약
10장을 겹쳐서 측정한 두께가 1mm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신문지 1장의 두께는 0.1mm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얇은 신문지도 42번만 접으면 지구에서 접은 신문지가 달에 닿을 정도로 두꺼워진다. 언뜻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필리핀의 이푸가오주 등이 대표적인데, 필리핀 이푸가오주 바나우에의 계단식 논은
약
2000년 전부터 이용돼 왔다. 이런 가치 때문에 이 논은 1995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됐다.척박한 땅과 극한 기후를 이기는 적응력북유럽 대평원에는 현재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 하지만 중세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