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16건 검색되었습니다.
폐열도 에너지로 바꾼다… 세계 최고 효율 열전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9
확보해 열 관련 발전분야 적용 가능성을 극대화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
화학
회가 발행하는 에너지분야 학술지 ‘어플라이드 에너지 머티리얼즈(Applied Energy Materials)’ 3월호에 게재됐다. ... ...
“쓸데없어 보이는 연구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배터리를 일상 속에서 안전하게 쓸 수 있도록 연구해온 정통 배터리 연구자다. 1997년 LG
화학
에 입사한 뒤 2004년 안전성강화분리막(SRS) 개발에 참여하면서 당시 빈번하게 일어나던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문제를 해결했다. 이 분리막은 현재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차에 들어가는 자동차 배터리 필수 ... ...
두 약물 같이 쓸 때 효과-부작용 예측… ‘AI 약사’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7
없고 효과는 높은 맞춤형 약물을 처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엽 KAIST 생명
화학
공학과 특훈교수팀은 약물 간의 상호작용을 92.4%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AI인 ‘딥디디아이(DeepDDI)’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딥DDI는 약물 ... ...
KAIST, 암 치료 효과 높인 레이저 치료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단점 및 부작용을 개선해 암세포 표적 치료에 활용할 수 있으리란 기대다. KAIST는 생명
화학
공학과 김유천 교수 연구팀이 근적외선 형광물질 기반의 PDT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PDT는 약물이나 유전자가 아닌 빛을 이용하는 치료법으로, 레이저를 특정 부위에 쬐어 산소를 활성산소로 변화시켜 ... ...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04.16
은 나노선을 활용해 농식품 내 잔류농약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해 재료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ACS 응용물질 및 계면(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3월 13일자에 발표했다. GIB 제공 연구팀이 개발한 검출 기구는 2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굵기의 은 나노선 구조체가 포함된 종이 ... ...
‘꿈의 소재’ 그래핀으로 만든 초고강도 고성능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100배 강하면서 유연한 특성이 있어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공동연구팀은
화학
증기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활용해 그래핀 섬유를 합성했다. 이후 전기분해 원리를 이용해 그래핀 섬유의 표면에 얇은 구리막을 입혔다. 이렇게 만든 그래핀-금속복합구조체로 전선을 만들자, 기존 ... ...
적혈구를 ‘필터’로...고성능 혈당측정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5
이를 혈당측정기에 붙여 포도당만 정확히 골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분석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앤바이오일렉트로닉스' 15일자에 발표됐다. 기존 혈당측정기는 효소를 이용해 혈액 내 포도당을 감지한다. 효소가 혈당과 많이 결합하면 혈당이 높다고 나오는 식이다. ... ...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 뮤비 공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임채연 학생(분당영덕여고 2학년)의 노랫말이다. "너라는 기억의 항등성은 전기
화학
적으로 존재하지 때론 파동처럼,때론 입자처럼 존재하는 빛처럼" 임채연 학생이 붙인 가사의 일부이다. 사람의 뇌에 자리 잡은 ‘기억’이라는 주제를 떠올리며 나온 가사라고 한다. 가사에서 ‘널 스친 ... ...
“돌고래 ‘제돌이’ 방류, 한국사회에 해양생물 보호 인식 심어 줬죠”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결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부 학사과정에 재학 중인 김세준 씨(27)는 한국이 2013년 아시아 최초로 돌고래를 자연 방류한 사건의 사회적 파급 효과를 분석해 최근 국제학술지 ‘코스털 매니지먼트’ 2018년호(46호)에 발표했다.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졸업을 2년 앞두고 호킹은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하고 싶어 했다. 그러나 아버지는 그가
화학
을 전공하면서 수학은 아주 조금만 공부하길 원했다. 그는 실제로 세인트 올번스 스쿨을 졸업한 뒤 공식적으로 수학을 한 번도 배우지 않았다(그럼에도 2009년 9월 정년퇴임할 때까지 30년 동안 명문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