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검출될 수 있다는 것. 만일 반헬륨원자핵뿐 아니라 반탄소원자핵, 반산소원자핵도
발견
된다면 정말 우주 어딘가에는 반물질로 이뤄진 별과 은하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물론 이 프로젝트에 대해 “쓸데없는 데 돈을 쓴다”며 마땅치 않게 생각하는 과학자들도 많다고 한다. 이 정도 실험이라면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결과 예상대로 암세포의 p53 유전자에는 염기 하나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세포 위기 대응하는 총지휘관1989년 4월 14일자 ‘사이언스’에 보겔스타인 교수팀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자 암 연구자들은 즉시 그 중요성을 간파하고 앞다투어 p53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 결과 불과 수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발견
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인류가 가장 애타게 찾고 있던 두 입자의
발견
이 점차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우리는 정말 우주 궁극의 비밀을 품은 신의 입자와 어둠의 입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좇고 있는 실험가도, 책상 위에서 이론의 바다를 떠도는 이론가도 모두 힉스입자가
발견
되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좀 더 심화된 내용을 보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원문(긴글)을 읽을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Part 1. 우주에 질량을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근래에 와서 기준과 맞지 않아 폐기되는 일이 종종 있다”고 말했다. 또 임상 시험에서는
발견
되지 않던 부작용이 제품으로 판매된 뒤에 나타나기도 한다.심 교수는 “임상시험은 제한된 조건에서 일부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시판 뒤 좀 더 다양한 사람들이 약물을 접하고 부작용이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숲에 도착한 것 같구나. 지난 2004년, 이 숲의 나무들이 원인을 모르게 죽어 있는 것이
발견
됐어. 나무들이 죽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죽은 나무 주변에 나무를 죽게 한 벌레들의 흔적이 없어. 흠…, 아마도 땅의 갈라진 틈을 타고 나온 화산 가스 때문인 것 같구나 증거 3. 백두산 온천수가 끓어오르고 ... ...
"수학의 달, 꼭 만들어 주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외심의 성질’ 에 대해 강연을 했다. 참가자들은 설탕을 이용해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을
발견
하는 실험에 앞서 관련 내용을 배울 수 있었던 것. 실험은 2명씩 짝을 이뤄 진행됐다. 우드락에 서로 다른 삼각형을 그리고 자른 뒤 설탕을 부어 삼각형의 모양에 따라 내심이 어디에 있는지 관찰했다. 또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발견
된 완전수는 그리 많지 않아. 그리고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도 새로운 완전수를
발견
하기가 쉽지 않아. 특히 홀수인 완전수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어.완전수에서 한 가지 재미있는 내용이 있어. 바로 완전수의 모든 약수를 역수로 만들어 더하면 값이 항상 일정하다는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양 사이에 존재하는 규칙이 모두 함수거든요.이처럼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규칙성을
발견
하고 이해하면,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겨요. 바로 함수 때문에 가능한 거죠. 만약 함수가 없다면 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다는 사실만 알고 넘어갈 거예요. 하지만 수학적으로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백두산 천지 아래 2~5km 지점에서 화산성 지진이 증가하고 천지 주변 암석에서 균열이
발견
돼 분화 징후가 뚜렷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하지만 국내 지진 및 화산 연구자들은 일본 지진의 여파가 백두산 분화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영수 지진연구팀장은 “일본 센다이 지진 ... ...
이전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