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5일 미국물리학회에서 “2010년 1월부터 15개월간 관측한 결과 희미하지만 계절별 차이를
발견
했다”고 발표했다. 암흑물질 검출 경쟁에 대해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자료가 축적되는 3년 뒤에는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검출될 수 있다는 것. 만일 반헬륨원자핵뿐 아니라 반탄소원자핵, 반산소원자핵도
발견
된다면 정말 우주 어딘가에는 반물질로 이뤄진 별과 은하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물론 이 프로젝트에 대해 “쓸데없는 데 돈을 쓴다”며 마땅치 않게 생각하는 과학자들도 많다고 한다. 이 정도 실험이라면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만은 꽤 기분 좋은 듯 했다. 국내에서는 한탄 바이러스를
발견
한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와 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장에 이어 세 번째인데다가 물리학자로서는 처음이다. NAS에는 노벨과학상 수상자만 200여 명이다. 말 그대로 최고의 과학자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발견
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인류가 가장 애타게 찾고 있던 두 입자의
발견
이 점차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우리는 정말 우주 궁극의 비밀을 품은 신의 입자와 어둠의 입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좇고 있는 실험가도, 책상 위에서 이론의 바다를 떠도는 이론가도 모두 힉스입자가
발견
되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좀 더 심화된 내용을 보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원문(긴글)을 읽을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Part 1. 우주에 질량을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940년대 전문가들은 교통사고 환자 대부분이 머리와 가슴에 큰 충격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1951년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메르세데스 벤츠는 골반에 두르는 2점식 안전띠를 도입했다. 하지만 허리 아래쪽 골반을 두르는 안전띠로는 머리와 가슴을 보호할 수 없었다. 스웨덴 자동차제조회사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숲에 도착한 것 같구나. 지난 2004년, 이 숲의 나무들이 원인을 모르게 죽어 있는 것이
발견
됐어. 나무들이 죽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죽은 나무 주변에 나무를 죽게 한 벌레들의 흔적이 없어. 흠…, 아마도 땅의 갈라진 틈을 타고 나온 화산 가스 때문인 것 같구나 증거 3. 백두산 온천수가 끓어오르고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결과 예상대로 암세포의 p53 유전자에는 염기 하나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세포 위기 대응하는 총지휘관1989년 4월 14일자 ‘사이언스’에 보겔스타인 교수팀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자 암 연구자들은 즉시 그 중요성을 간파하고 앞다투어 p53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 결과 불과 수 ... ...
"수학의 달, 꼭 만들어 주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외심의 성질’ 에 대해 강연을 했다. 참가자들은 설탕을 이용해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을
발견
하는 실험에 앞서 관련 내용을 배울 수 있었던 것. 실험은 2명씩 짝을 이뤄 진행됐다. 우드락에 서로 다른 삼각형을 그리고 자른 뒤 설탕을 부어 삼각형의 모양에 따라 내심이 어디에 있는지 관찰했다. 또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문제다.현재까지의 과학, 의학 연구 결과로 보면 적어도 1000km 떨어진 우리나라에서
발견
되는 방사선량에 대해서는 장기적이고 만성적인 위험성이 뚜렷하지 않다. 과도한 불안감이나 불신감을 갖는 것은 옳지 않다. 전자파처럼 장기적인 영향력이 입증되지 않았지만 생활 속에 노출된 위험은 원전 ... ...
이전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