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해설
해명
변명
번역
이야기
브리핑
d라이브러리
"
설명
"(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세균을 제외한 생물)이 시아노박테리아를 흡수하면서 이들도 광합성을 하게 됐다고
설명
하지만, 지금까지 구체적인 증거를 찾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진핵생물인 회조류가 시아노박테리아와 같은 유전자를 공유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광합성의 기원을 찾을 수 있게 됐다. 미국 럿거스대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카눕 박사는 당시 생긴 얼음알갱이가 지금 고리에 있는 양보다 1000배 정도 많았다고
설명
했다. 무거운 입자는 자체 중력 때문에 행성 쪽으로 빠르게 움직여 없어지고, 지금의 고리에는 가벼운 얼음 알갱이만 남았다는 것이다. 지금도 토성의 고리는 차츰 옅어지고 있다.한편 고리 속 파편이 흩어질 때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몰랐던 것. 이런 저런 수식을 적용하며 3개월간 집요하게 매달린 끝에 마침내 패턴을
설명
하는 모델을 만들었다.지도교수인 이홍희 교수에게 결과를 보여주자 그럴듯하다며 당장 논문을 쓰라고 했다. 3월 논문을 완성해 저명한 학술지인 ‘응용물리학저널’에 투고했고 8월 논문이 받아들여졌다. ... ...
개발도상국 환경 문제 해결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실제 도움이 될 수 있는 일, 주민에게 필요한 연구를 찾아 진행하려고 한다”고
설명
했다.현지 연구자 인턴교육으로 쑥쑥 키운다국제환경연구소가 애정을 가장 크게 쏟는 분야는 따로 있다. 현지 연구자들의 과학기술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훈련이다. 캄보디아, 베트남 연구진들과 메콩강 ... ...
[3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선정된 ‘실패는 신이 주신 선물’과는 다르다. 초이스는 기사를 쭉 풀어쓰며 중간중간
설명
을 곁들였다면 이 기사는 문답 형식을 택했다. 어떤 형식의 인터뷰 기사가 더 좋은지 정답은 없다. 인터뷰 기사가 어떤 내용이냐에 따라 가장 전달하기 쉬운 방식을 택하면 되는 것이다.일반적으로 문답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시대다. 자신의 연구성과가 아무리 뛰어나도 글이나 말로 다른 사람에게 알리거나
설명
할 수 없다면 의미가 없다. 학문을 탐구하는 것을 좋아하고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걸 좋아하는 것이 이과 리더쉽이다. 즐길 줄 알아야 한다.“영어를 잘하거나 글을 잘 쓰거나 문학을 잘하는 것도 이과 상위권 ...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꿈과 희망을 심어주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Q. 인공위성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
해주세요.한마디로 하자면 사람(인공)이 만든 달(위성)이라고 생각 하면 됩니다. 저궤도 인공위성은 약 100분에 지구 한바퀴를 돌만큼 빠른 속도로 지구 전체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적도상공의 인공위성이 도는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박사는 “우리가 주인의 행동을 잘 따라할 수 있는 이유를 ‘거울신경’ 때문”이라고
설명
했어요. 실제로 여러 동물 중에서 우리 개는 뇌 속에 거울신경이 가장 많대요. 연구 결과는 2010년 7월 28일 ‘영국왕립학회보B’ 에 실렸습니다. 또 머리가 좋을수록 주인의 행동을 잘 따라한답니다. 우리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신발을 사도록 설득하는 대신 유도하는 도화선이 바로 행동모델의 핵심”이라고
설명
했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를 이해하고 특정 행동을 유발하는 데 필요한 갖가지 장치들은 이미 게임 디자인이라는 형태로 현실에 깊숙이 들어왔다. 게임이 지배하는 현실의 미래는 어떻게 펼쳐질까.‘버리는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사람이 있다. 이미 몸이 커피에 익숙해져 카페인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하지만 앞서
설명
한 모든 이유를 불문하고 겨울에는 늦잠을 잘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겨울은 밤이 길기 때문이다. 잠을 오게 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밤이 길어질수록 분비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겨울에는 ... ...
이전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