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지방대 키운 경력교수 빼가기 열 올리는 '서·카·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올해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 이직한 교수로 채웠다. KAIST AI대학원이 소속된 전기및전자
공학
부에는 올 여름 다른 한 명의 UNIST 교수가 이직해, AI 분야에서만 두 해 동안 총 세 명의 UNIST 교수가 KAIST로 자리를 옮긴 셈이다. AI대학원만이 아니다. UNIST에서 지난 3년간 KAIST로 이직한 이공계 교수는 6명에 ... ...
한국 빛낸 산업기술에 접는 디스플레이·200년 버티는 콘크리트 등 15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두산인프라코어-80톤 초대형 스마트 굴착기 DX800LC의 모습이다. 한국
공학
한림원인 이 기술을 포함해 15개 기술을 2019년 산업기술성과 15선으로 선정했다. 한국
공학
한림 ... 분야 기술만 선정된 점도 독특하다. 한국
공학
한림원 선정 2019년 산업기술성과 15선 전체목록. 한국
공학
한림원 제공 ... ...
[과학게시판] '제1회 KETFA 2019'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KIST) 감사의 '노벨상 수상전략' 정책강연과 임창환 한양대 교수의 '인공지능과 뇌
공학
이 바꿀 인류의 미래' 강연도 열린다. 31일에는 '지역경제를 살리는 지역 연구개발(R&D) 정책과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전기연의 역할'을 주제로 패널토론이 열린다. 최규하 전기연 원장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기술 ... ...
큐브 퍼즐 푸는 로봇손…오픈AI, '인공지능+로봇' 결합해 개발
연합뉴스
l
2019.10.16
결과였다. NYT는 "이번 성취는 그저 눈길을 끌려는 묘기라고 치부할 수 있겠지만 로봇
공학
연구의 또 다른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번 성과가 기계를 훈련해 훨씬 더 복잡한 일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NYT는 예컨대 창고의 소포나 화물을 ... ...
서로 다른 물질 붙여 전류 방향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자성소자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유정우 신소재
공학
부 교수와 최대성 연구원, 진미진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원팀이 이종접합 소재 외부에 자기장을 걸어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 더 잘 흐르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혁신적인 소재∙부품∙장비 만드는 국가가 패권 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이어졌다. ‘혁신소재: 인류사의 게임체인저’를 주제로 발표한 정연식 KA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는 “혁신 소재를 만든 민족들이 패권을 쥐는 그런 패턴들이 역사적으로 보인다”며 일본의 수출금수 조치 덕에 개발된 합성섬유 ‘폴리아마이드’의 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정 교수는 “세계2차대전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할로윈 사이언스'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가는 길'을 주제로 제113회 KISTEP 수요포럼을 개최한다. 주제 발표를 맡은 김장성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원장은 차세대 주력산 중 하나인 한국 바이오헬스산업 현황에 대한 진단과 선진국의 사례를 통해 바이오헬스 강국이 되기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한다. 김 원장은 바이오 기술이 고병원 감염병과 ... ...
구부리고 늘리고 비틀어도 되는 전극
과학동아
l
2019.10.15
비틀어도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는 유연한 전극이 개발됐다.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교수팀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해 물리적 변형에도 전기적 성능을 잃지 않는 신축성 있는 전극을 만드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10일자에 발표했다. 폴리이미드 등 플라스틱을 ... ...
줄기세포 기능 촉진하는 원천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전남대 지역바이오시스템
공학
과 교수와 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항공및원자력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줄기세포의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나노바늘구조 지지체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지지체는 지름 50nm (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높이 300nm의 나노바늘을 500nm ... ...
KAIST, 14일 국회서 소재 부품 장비 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 토론회
동아사이언스
l
2019.10.13
분야 R&D 정책 방향을 제언할 예정이다. 부품 분과에서는 장재형 GIST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부 교수가 ‘우리나라 부품산업 위기와 기회’를 주제로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당면 과제를 역설한다. 부품사업 기술 경쟁력 확보 방안 및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역할에 대해서 논할 예정이다. 장비 ... ...
이전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