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뉴스
"
능력
"(으)로 총 5,529건 검색되었습니다.
쥐의 웃음이 가득한 곳은?
2014.11.16
상대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코끼리가 가족의 죽음을 슬퍼하는 등 신기한 동물의
능력
을 경험한다. 그리고 발품을 팔아 얻은 동물 이야기를 새 책 ‘동물을 깨닫는다’에 담았다. 돋을새김 제공 ◆ 수학 오디세이 (앤 루니 지음 著, 돋을새김 刊) 전국의 고등학생과 상경·이공계 대학생 ... ...
독한 돼지 냄새, 미생물로 잡았다
2014.11.12
없앨 방법으로 미생물을 선택했다. 다른 동물이 먹지 못하는 특이 물질을 대사할 수 있는
능력
에 주목한 것이다. 연구팀은 양돈장 토양과 농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된장에서 300종이 넘는 미생물을 분리한 끝에 돼지 냄새의 원인인 황화수소(H2S) 가스를 90% 이상 줄일 수 있는 효모 ‘피치아 ... ...
면역질환치료, 4D프린팅… 10년 뒤 유망기술 10선
2014.11.11
▲ 학습분석기술이 꼽혔다. 스마트기기처럼 로봇이 쓰이고, 인간의 창의적 학습
능력
을 끌어 올리기 위한 분석기술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창의적 융합사회’ 분야에선 ▲클라우드 환경 보안기술과 ▲4D 프린팅 기술이 꼽혔다. 미래사회에는 모든 데이터를 인터넷망에 저장하는 클라우드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30~50%에게서 학습장애가 나타난다. 지금까지 주로 증상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을 뿐 학습
능력
이나 인지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연구진은 이 질환에 걸린 환자에게 발견되는 돌연변이 유전자(PTPN11)를 생쥐에게 적용해 이 돌연변이가 학습과 기억장애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 ...
北 잠수함 미사일을 두려워 해야 하는 까닭
2014.11.03
있는 골프급(3000t, 약 77m)이 아닌 로미오급(1800t, 약 67m) 잠수함이라서 당장 SLBM을 발사할
능력
을 확보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북한이 그간 운영하던 연어급 잠수함의 크기를 늘려 67m 정도의 중대형 잠수함으로 만든 것이다. 하지만 이만한 중대형 잠수함을 개발했다는 것은 조만간 골프급 잠수함을 ... ...
간·신장 훼손 안 시키는 면역억제제 후보물질 개발
2014.10.29
화합물은 면역세포의 칼슘통로(채널)를 막아 면역세포의 활동을 억제해 결과적으로 면역
능력
을 낮췄다. 박 교수는 “새로 개발한 화합물이 최근 활발히 쓰이는 면역억제제보다 효율은 20% 이상 높으면서도 세포독성과 부작용이 적다”며 “추후 연구를 통해 면역억제제 신약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양질의 분리막이 되기 위한 조건은 작은 물질과 큰 물질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 선별
능력
과 빠른 처리속도다. 하지만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맞게 구멍 크기를 줄이면 선별도는 높아지지만 반대로 저항이 커져 처리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유필진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 ... ...
태양빛으로 물 깨끗하게~
2014.10.26
세포에 안전한지도 추가로 확인했다. 색깔을 띠는 화학 염료를 물에 섞은 뒤 분해
능력
을 측정하고 햄스터와 원숭이, 인체 간암세포를 이용해서 인체 유해성을 검사한 것이다. 실험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광촉매로 정화한 물은 살아있는 세포에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았다. 이주한 박사는 ... ...
과학자들 “설탕 첨가된 청량음료 자주 섭취땐 DNA 노화 촉진”
동아일보
l
2014.10.21
탄산음료를 수시로 마시는 행위는 질병 유발에 영향을 준다. 체내의 당 관련 대사 조절
능력
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세포조직의 노화를 가속화 해 각종 질병 발병에 영향을 끼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당뇨병과 심장병 전력이 없는 20세부터 65세 사이의 성인 5309명의 백혈구 세포의 말단소립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최고 수준이다. 많은 나노바이오기술 연구자들이 논문을 통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능력
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줬다. 이제는 실제로 이런 기술을 산업화해서 상품을 생산하는 면에서 리더십을 보일 때라고 생각한다. 스마트폰처럼 사용자 친화적인 의료 장비를 만드는 것도 좋은 사례다. ... ...
이전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