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8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블릿PC 위에 손가락만 갖다 대면 로봇이 스르륵
2015.05.12
한국인 대학원생 이성근(사진) 씨가 1저자로 참여했다. 군집로봇은 두 대 이상의
작은
로봇이 협력해 공동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이다. 로봇마다 무선 수신기와 센서가 내장돼 있어 다른 로봇과 함께 무리를 지어 임무를 수행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 천~수 만 개에 이르는 로봇을 개별적으로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아미노산서열이 비슷할 것이기 때문이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자체적으로
작은
게놈을 지니고 있는데(이 사실도 공생의 강력한 증거다!) 염기서열이 일부 박테리아와 꽤 비슷하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그런데 분자진화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비밀이 밝혀졌다. ... ...
[내 생애 최고의 의술]뉴질랜드 220kg 비만환자 위절제술 성공… 80kg대 제2인생
동아일보
l
2015.05.11
않고 소장으로 바로 내려가게 해 음식 섭취와 흡수를 줄일 수 있다. 복강경 수술은 배에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내고 그 구멍으로 몸속을 들여다볼 수 있는 내시경과 수술 기구 등을 집어넣어 시행하는 방법이다. 초고도비만 환자의 경우 개복 수술을 하면 폐색전증(혈전이 폐동맥을 막는 증세) 등의 ... ...
“딱따구리 둥지만 보기에도 인생이 짧습니다”
2015.05.10
사진은 특히 눈길이 갔다. 그의 생명 수업은 크고 화려한 생물에 머무르지 않는다.
작은
‘끈끈이 주걱’에도 김 교수의 시선은 멈췄다. 김 교수는 끈끈이 주걱이 습지라는 독특한 환경에서 어떻게든 살아나가야 했기 때문에 곤충을 먹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생명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진 ... ...
한국인 일주일 적정 음주량 ‘男 소주 2병 女1병’…고위험 음주자 “습관적으로 마신다” 17.3%
동아닷컴
l
2015.05.08
다르기 때문에 1잔의 용량은 다르다. 와인은 약 150㎖, 양주는 약 45㎖다. 맥주는 360㎖(
작은
병맥주 1병), 생맥주 500㎖, 막걸리 250㎖(한 사발), 20도짜리 소주는 90㎖(4분의 1병) 정도다.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종성 교수는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미국이 권고하는 적정 음주량을 그대로 따라왔다”며 ... ...
딱따구리와 동고비의 못 말리는 자식 사랑
2015.05.08
시작한다. 암수가 교대로 먹이를 구해 온다. 오색딱따구리나 큰오색딱따구리처럼 몸집이
작은
딱따구리는 암수 합쳐서 하루 평균 60번 정도 부지런히 먹이를 물어 나른다. 몸집이 큰 청딱따구리나 까막딱따구리는 먹이를 삼킨 채 8번 정도 둥지를 드나들며 다시 토해내 먹인다. 김 교수는 ... ...
교신 두절 러시아 무인 우주화물선 8일 지구로 추락
2015.05.07
프로그레스처럼 우주로 쏘아올린 발사체나 고장난 위성, 임무를 마친 위성 등의 크고
작은
우주쓰레기는 매년 약 100t 정도 지구로 재진입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가운데 1t 이상의 구조물은 대기 중에서 모두 타버리지 않고 지상이나 바다로 떨어지기도 한다. 최근에는 임무를 완수한 위성들의 ... ...
유리막대 안 들어가는 마이크로 시약은 어떻게 섞을까요?
2015.05.06
한다. - 랩온어칩 제공 비커 속 시약을 유리막대로 저어서 섞듯 나노미터(nm) 크기의
작은
물질을 섞을 수 있는 신기술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박정열·김대중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나노 물질을 완벽하게 섞을 수 있는 나노미터 크기의 3차원 소용돌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 ...
리튬이온전지 폭발 과정 실시간 관찰
2015.05.05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8일자에 발표했다. 크고
작은
폭발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리튬이온전지의 설계를 개선해 향후 폭발사고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폴 시어링 영국 런던대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리튬이온전지가 폭발할 때까지 온도를 ... ...
의사마다 다른 암 치료법, 무엇이 최선일까
2015.05.03
피폭을 우려하는 기자에게 “별 문제 없다”며 걱정하지 말라고만 했다. 특히 1cm 미만의
작은
암도 찾아낸다는 PET의 경우 특정 병원에서는 “몸 전체에서 암세포 존재 여부만을 검사하는 것”이라며 정확하지 않은 검사법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세 번째 병원에서도 ‘대수술’ 소견이 나왔다. ... ...
이전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