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엽 KAIST 교수 미국국립과학원 회원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17.05.16
명망이 높은 양대 학술기구인 미국국립과학원과 미국공학한림원에 동시에 선임된
최초
의 한국인이 됐다. 두 기구에 동시에 회원으로 선임된 외국인 연구자는 세계에 12명에 불과하다. 이 교수는 앞으로 NAS의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논문심사와 과학기술 정책 제안 등의 활동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일곱 개 제후국이 자웅을 겨뤘다. 기원전 221년 마침내 진나라가 패권을 차지하면서 중국
최초
의 통일제국을 건설했다. 따라서 춘추전국시대 중국은 전쟁이 그칠 날이 없었고 전쟁을 수행하는 남성들 위주로 세상이 돌아갔다. 그러다보니 남녀차별이 갈수록 노골화됐을 것이다. 양사오문화 시절에만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
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표지로 읽는 과학-네이처]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의 표지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리본과 막대가 복잡하게 얽힌 그림입니다. 과학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익숙한 그림을 본적 있으실 겁니다. 단백질이나 생체 조직의 구조를 X-선 결정학 방식으로 나타낼 때 쓰이는 그림이니까요. 네, 이 ... ...
만도, 자율주행차 운행 허가…국내
최초
자체개발 센서 장착
포커스뉴스
l
2017.05.11
제공 (서울=포커스뉴스) 국내
최초
로 자체 개발한 국산 센서(감지기)를 장착한 자율주행자동차가 실제 도로를 달릴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자동차 부품업체인 '만도'에서 신청한 시험·연구 목적의 자율주행차 임시운행을 허가했다고 11일 밝혔다. 운용 차종은 현대차 제네시스다. 국토부에 ... ...
원시 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11
것으로 추정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호모 날레디를
최초
로 발견했던 리 버거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대 교수팀은 이처럼 수정된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이라이프(eLife)’ 9일자에 3편의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동안 작은 뇌를 가진 호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얻은 실험결과가 전혀 다르다면 그건 과학이 아니라는 말이다. 과학자들이 우선권, 즉
최초
의 발견자로 인정받기를 그렇게 원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과학에서 ‘재현성 위기(reproducibility crisis)’라는 말이 들리고 있다. 특히 생명과학 분야에서 두드러지는데 얘기를 들어보면 ... ...
우주여행 태양광 비행기 ‘눈길’
팝뉴스
l
2017.05.09
비행기가 언론의 주목을 받는 것은 제작사가 야심적 목표 때문이다. 솔라스트라토스는
최초
로 성층권까지 날아오르는 태양광 비행기가 될 것이라고 제작사는 공언한다. 2018년에는 이 비행기가 20km 이상의 고도까지 날아오를 것이라는 말이다. 상승에는 2시간이 걸리고 이후 비행기는 15분 동안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원더우먼’ 부활이 갖는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7.05.08
첫 원더우먼 첫 TV시리즈 주인공으로 활약했던 배우 ‘린다 카타’의 모습. 원더우먼은 ‘
최초
’나 ‘유일’이라는 수식어가 자주 붙지만 사실 원더우먼보다 먼저 등장했다 사라진 여성히어로도 꽤 존재했다. 최근에도 슈퍼맨의 친척뻘로 등장하는 ‘슈퍼우먼’ 등 다양한 여성 히어로가 활약하고 ... ...
KAIST 교수가 ‘서양화 수업하겠다’며 나선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5.08
015년엔 미국음향학회(ASA)가 우수 음향학자에게 주는 ‘로싱상’을 비영어권 학자 중에서
최초
로 수상했다. 이런 융·복합 교과목은 통상 2명 이상의 각기 다른 전공분야 교수가 공동으로 지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학교 측은 김 교수의 이런 역량을 보고 단독 수업으로 특강을 구성했다. 그는 ... ...
[때와 곳 4] 미용실과 이발소: 소원하는 집
2017.05.06
59년에는 1,225개로 대폭 늘어났다. 여성의 문화생활이 확대된 사회 현상이었다. 반면 국내
최초
의 이발소는 1901년에 유양호 씨가 인사동에 개업한 ‘동흥이발소’였다. 고종의 단발령이 떨어진 지 6년이나 지난 후였다. 개화의 일환으로 내려진 단발령은 우리 풍속의 가치관에 대립되어 자살까지 ... ...
이전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