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다는 것을 아느냐?” “네? 무슨 말씀인지…. 둥근 거울로 봐야 보이는 그림이 있다는
건
가요?” “그래, 지금 네가 손에 들고 있는 원기둥 거울로 봐야 보이는 그림이 있단다.” “정말요? 빨리 알려 주세요.”거울의 아주 특별한 능력주어진 그림처럼 가로선과 세로선을 그려 보자. 그리고 그 위에 ... ...
함수는 커플매니저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함수 커플 맺기 프로젝트 어땠나요?일동 : 너무 마음에 들었어요! 함수의 조
건
도 쏙쏙 이해됐답니다. 좋아하는 연예인과 커플이 될 수 있다는 상상만으로도 즐거웠어요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
건
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산업 발전의 촉매역할을 하는 셈이다. 특히 모터스포츠의 정점인 F1은 공식(=포뮬러)의 조
건
을 맞추면서도 최고 난이도의 튜닝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회사들은 F1에 참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대단한 자부심을 느낀다. 비록 천문학적인 경비가 들어가지만 F1 머신은 아무나 만들 수 있는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양은 비슷한데 lin-14 단백질의 양은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었던 것. 발달조절에 관여하는
건
단백질이기 때문에 결국 단백질이 줄어들면서 성숙 억제가 풀려 성체로 발달하는 과정이 진행된 셈이다. 한편 lin-4는 시간이 갈수록 발현량이 늘어난다.그렇다면 lin-4는 lin-14의 mRNA가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게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인지행동치료 등을 받아야 한다.강력범죄가 날로 증가하면서 사람들이 충격적인 사
건
을 겪고 트라우마에 시달릴 가능성도 높아졌다. 민성길 원장은 “성폭력을 당한 피해자는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성폭력 피해자는 생명의 위협과 동시에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었기 때문이다. 민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자기 집단(예를 들어 국가)을 지키기 위해 다른 집단에 맞서 싸우다 목숨을 바치는
건
명예스런 행위로 추앙받는다. 그런데 많은 경우 상대편에서도 죽은 사람은 명예를 얻는다.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심리학과 카르스텐 드 드루 교수팀은 자기 집단에 대한 이타심과 외부 집단에 대한 적대심에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없으므로 깃털 색과 무관하고 대체로 어두운 색이다.연구자들은 “머릿니의 색이 짙은
건
멜라닌 색소 때문으로 자외선의 손상을 막기 위한 전략”이라며 “깃털 이도 원래는 몸 색깔이 짙었을 텐데 밝은 깃털에 기생하면서 밝은 쪽으로 진화한 걸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연구실에서 울리는 승전보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고수의 비법전수 안 되는
건
없다. 힘들다고 도중에 그만두면 남을 이길 수 없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생각으로 연구하는 자세가 평생을 살아가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 ...
자연계 상위권은 영어·수학 B형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 선택이 한 과목으로 줄어들어 수능 자체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
건
사실이다. 그러나 I과 II를 한데 묶어놓았기 때문에 한 과목을 선택해도 공부 부담은 만만찮다. 또 상위권 학생들은 대학별 고사를 준비하려면 선택과목 외의 과목도 대비가 필요하다.사회탐구도 한 과목을 ... ...
탈탈, 슥슥~. 빨래 개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와우~!아직 완벽하진 않아요. PR2 로봇은 빨래를 개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요. 수
건
한 장을 접는 데 약25분이 걸린다고 해요. 에휴…, 답답해. 하지만 너무 실망하진 말아요. 연구가 계속되면 곧 지구에도 저처럼 빠르게 빨래를 개는 로봇이 생기겠죠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