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2008).9. 표고버섯의 균상재배가 실용화된다(2000).10. 가축의 질병예방에 유전자
공학
단백질
공학
을 이용한 분자설계에 의한 합성 백신이 실용화된다(2010).광물·수자원과거와는 달리 향후 광물자원의 탐사는 지하 심부에 부존하는 잠두광체(concealed orebody)의 탐사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지표에 노출된 ... ...
보고 듣고 냄새 맡는 바이오 컴퓨터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매우 다양하다. 인공 시각이나 촉각 감지기도 연구되고 있다.바이오컴퓨터는 생물전자
공학
을 이용한 컴퓨터에 대한 개념적인 이름이다. 아직 재료와 공정 등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지만, 인류의 영원한 꿈은 인간의 기능 일부를 위임 받아 수행하는 바이오컴퓨터의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 ... ...
빌 게이츠 신화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젊은 컴퓨터
공학
도들의 우상 빌 게이츠. 머리 하나만으로 '황금밭'을 일군 신화의 주인공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그의 한국방문과 저작물 출간이 불러온 이 관심은 때마침 '시카고'란 코드명으로 불리던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의 모습이 조금씩 드러나면서 더욱 고조되는 ... ...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보여 주고 있다.대부분의 인류가 살고 있는 연안 지역의 재해 방지 등이 앞으로 연안
공학
자들의 큰 과제가 될 것이다. 지구가 인간의 활동으로 그 균형이 깨지고 생태계가 파괴돼 궁극적으로 인류가 멸망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최근 전 세계가 지구 환경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 이는 또 국제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삼각법은 이제 하나의 큰 바다로 합류했다. 삼각법은 오늘날 원자력의 이용, 레이더, 우주
공학
, 컴퓨터 등 현대 과학의 최첨단을 이루는데 기초가 됐다.그 간의 삼각함수 발전 과정을 보면 천문 관측을 위해 발견된 삼각법은 15세기 이후의 대항해 시대에는 안전한 항로를 위해, 또 적진까지의 거리 ... ...
마비된 신체기능 전기자극으로 회복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손이나 손가락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근착 '쿼크'지에 따르면 일본 도후쿠대학 의학부와
공학
부 공동 연구진은 목 부분을 손상한 43세의 남성을 치료했다. 그는 어깨를 움직이거나 무릎을 굽힐 수는 있지만 손목과 손가락은 마비돼 그 이상의 회복은 어렵다고 진단받은 환자다.연구진은 이 환자의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기계에게 옮겨주는 방법이 자못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마음을 이식하는 수술미국의 로봇
공학
전문가인 한스 모라벡의 저서 '마음의 자식들'(Mind Children,1988년)이 출간 직후 신선한 충격을 던진 이유 중의 하나는 사람의 마음을 기계로 옮기는 시나리오를 다음과 같이 자세히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중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중성자를 이용한 간섭 및 회절실험은 물리학 재료
공학
화학 및 생물학에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다.최근 세계적으로 관심을 끄는 고온초전도체의 특성을 밝히는 연구를 비롯해 다양한 종류의 고체 연구에 안 쓰이는 곳이 없을 정도. 화학분야에서는 무기화합물의 구조를 ... ...
1. '도전-실패' 되풀이 개발역사 50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반발한다. 그들은 지식처리형 기법이 새로운 프로그래밍 기법의 하나로서 소프트웨어
공학
적 가치는 인정하나 인공지능의 연구가 여기에 머무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인공지능의 연구는 좀 더 근원적인 지적 능력을 규명하고 여러 문제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론을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한탄바이러스, 이호왕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
공학
센터 이대실 박사는 90년 3월 노벨의학생리학상 위원회 사무총장인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린드스텐 박사가 내한했을 때 "한국에서 노벨상을 받는다면 누구겠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그는 담박에 고대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