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Editor’s note] 미래 최고의 직업은 데이터과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특집기사에 이 두 가지 관점을 다룬 부분도 있으니 읽고 자기 생각을 정리해 보세요.얼마
전
에는 미국 최고의 직업으로 데이터과학자가 뽑혔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모든 산업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중요해지면서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지요. 2위는 통계학자, 3위는 정보보안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데이터로 개인에 따라 걸릴 수 있는 질병을 예측해 예방할 수도 있다. 오늘날보다 안
전
하고, 편하고, 건강한 장밋빛 미래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나의 생각과 감정을 누군가가 훔쳐보고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각만 해도 끔찍하지만, 우리가 만들어낸 데이터를 모으고 ...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10원짜리 동
전
하나에 들어 있는 구리와 아연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합금인 10원짜리 동
전
속 두 금속의 비율을 계산해보며 아르키메데스가 생각해낸 부력의 원리를 생각해보자 ... ...
[수학동아클리닉] 신체의 선으로 기본도형 표현하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표현해보며 수학을 역동적으로 만나는 경험은 짜릿하다. 다만, 활동
전
에 충분한 안
전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1학년은 자유학기 시행으로 더욱 다양한 형태의 수업과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신체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앞으로 많이 만들어지길 희망한다. 촬영이 모두 끝난 뒤 단체 사진을 촬영하면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수 있다.차 연구관은 기상1호를 통해 두 가지 중요한 소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
망했다. 하나는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넘어오는 황사나 미세먼지의 양을 파악하는 것이다. 한반도의 대기 질이 나빠질 때마다 오염물질의 출처를 둘러싸고 논란이 많았다. 중국에서 넘어오는 물질과 한반도에서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뇌와 생각 이상으로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더 나아가, 만약 도마뱀이 꿈을 꾼다면 오래
전
에 살았던 파충류인 티라노사우루스나 스테고사우루스 같은 공룡 역시 꿈을 꿨다고 해석할 수도 있지 않을까. 작은 파충류의 뇌가 이렇게 놀라움으로 가득한 판도라의 상자일 줄은 아마 아무도 몰랐을 것이다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슈가 됐다. 골절은 선명했지만 이 골절이 어떻게 발생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
문가들조차 의견이 엇갈렸다. 우리나라에도 시체농장과 같은 시설이 만들어져 체계적인 연구를 했다면 두개골 하나가 그렇게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진 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뼈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사건 당시의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Interview] 차세대
전
자 의수 도
전
하는 오상록 KIST 박사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혈액의
전
해질 수치가 변하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눈 유리체액(vitreous humor)이 생
전
의
전
해질 수치를 비교적 오래 보존하죠.하지만 소금도 본인이 모르게 먹이기는 쉽지 않았을 겁니다(락스보다는 쉬웠겠지만요). 밥과 반찬에 소금을 나눠 뿌린다 해도 너무 짤 테니까요. 이러나 저러나 금자씨가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적습니다. 내가 나를 만질 때 일일이 간지럼을 탄다면 정말 피곤하지 않을까요.남이라고
전
부 간지럼을 타는 것은 또 아닙니다.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로봇으로 간질이는 실험도 했는데 이때 실험 참가자는 간지럼을 타지 않았습니다. 눈으로 본 로봇의 움직임은 예측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